FBS란 / 병목현상 해결 방안 / 메모리 오버클럭

박기범·2023년 6월 26일
0

IT 용어

목록 보기
5/10

1. FSB란


FSB란 프론트 사이드 버스(Front Side Bus)의 약어로 CPU와 메인 메모리간의 데이터 전송 통로
예를들어 400MHz FSB라면 CPU에서 노스 브리지까지 400MHz의 버스 속도


메모리 클럭이 266MHz라면 다시 노스 브리지에서 메모리는 266MHz의 버스 속도

메모리로 이어지는 데이터 전송 관계에서 FSB에 비해 메모리 클럭이 떨어지면 병목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비교하면 CPU에서 노스브리지 까지는 폭 40.0m의 넓은 도로가 나있는데, 노스브리지에서 메모리로는 26.6m 폭의 도로로 좁아진다는 뜻

아무리 FSB가 높아도 메모리 전송 클럭이 이를 받혀주지 못하면 병목현상 으로 시스템이 제 속도를 낼 수 없게 됩니다.

메모리 속도의 한계 때문에 많은 PC들이 제 속도를 못낼수도 있다.

2. 램 오버 하면 뭐가 좋은데?


컴퓨터 일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빵 공장의 예를 들면, 사장님(CPU)은 하루에 빵 4000개 5000개 주문은 받아 오지만,
농땡이 빵공장 공장장(RAM)은 하루에 2666개 밖에 못 만든다. 하지만
전압(월급) 올려 주고, 기분 좀 맞춰주면(램오버) 농땡이 안치고 3200개 까지는 어떻게든 쥐어짜서 만들어 낸다.


램 주파수는 CPU로 부터 초당 받을 수 있는 일의 횟수를 의미하며,
램오버를 하면 주어진 시간에 일을 더 많이 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빠릿해 지는 것이다.

FBS 참고자료
병목 현상 참고자료
병목 현상 해결 방법(메모리 오버클럭 하는 이유) 참고자료
CPU와 메모리 관계 참고 자료 1
CPU와 메머리 관계 참고 자료 2

profile
호스피스 병동에서 인간이 죽기전에 가장 많이 하는 후회가 한번이라도 내 방식대로, 의지대로 살아볼걸이라는 후회라고 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