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서버 용량을 500GB -> 1.5TB 증가시켜야했다. 추후 확장성을 고려해서 이번 기회에 LVM으로 구성하는 편이 낫겠다고 생각했다.
DB서버 용량을 500GB -> 1.5TB로 증가시켜야했다. 기존 데이터영역 500GB는 /data 경로에 마운트 되어 있었고, DB엔진을 재기동 했을 경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데이터를 유실하지 않으면서 동일 경로에 1.5TB를 마운트시키고 싶었다. 아래는 마운트 해제 및 마운트 경로를 변경한 작업 예제이다. 예제 1. 현재 마운트 확인 /d...
성능테스트를 하면서 많은 사용자가 요청을 보내기 시작했다. 데이터 조회와 데이터 적재를 동시에 실행하는 WAS에 문제가 발생했다.
OS 커널 파라미터를 찾아보다가 NHN cloud 블로그에서 좋은 글을 발견했다.공부할 겸 차근차근 읽어보면서 정리해보았다.
지난 글에 이어서 2편도 스터디하면서 정리했다.리눅스 서버의 TCP 네트워크 성능을 결정짓는 커널 파라미터 이야기 - 2편
TIME_WAIT socket
사전지식 PID PID(Process ID)는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를 식별하기 위해 프로세스에 부여하는 번호를 의미한다. PPID PPID(Parent Process ID)는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의미한다. 만일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보다 일찍 종료되는 경우 자식 프로세스는 고아 프로세스가 되어 PPID로 init process의 P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