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 이어서 2편도 스터디하면서 정리했다.리눅스 서버의 TCP 네트워크 성능을 결정짓는 커널 파라미터 이야기 - 2편
OS 커널 파라미터를 찾아보다가 NHN cloud 블로그에서 좋은 글을 발견했다.공부할 겸 차근차근 읽어보면서 정리해보았다.
성능테스트를 하면서 많은 사용자가 요청을 보내기 시작했다. 데이터 조회와 데이터 적재를 동시에 실행하는 WAS에 문제가 발생했다.
(기존) LB → WAS → DB 구조 (고객사 요청으로 변경) LB → WEB → WAS → DB 구조..... 이럴 경우 WEB에서는 단순 http proxy 기능만 수행하면 된다.
개념 참조 스태틱 파드 는 API 서버 없이 특정 노드에 있는 kubelet 데몬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는 파드(예를 들어 디플로이먼트(Deployment))와는 달리, kubelet 이 각각의 스태틱 파드를 감시한다. (
스케줄러는 파드가 필요로 하는 리소스의 양과 노드에서 사용 가능한 리소스를 고려하여 파드를 배치할 가장 적합한 노드를 찾아낸다.
시험 중에는 브라우저에서 YAML 파일을 복사하여 터미널에 붙여넣기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kubectl run 명령을 사용하면 YAML 템플릿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YAML 파일을 생성하지 않고도 kubectl run 명령만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예시 다음 조건에 부합하는 deployment 생성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