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와 튜플_PYTHON

👀·2022년 8월 2일
0

파이썬에서는 배열을 list와 tuple로 구현할 수 있다.

배열이란 하나의 값을 저장하는 변수가 아닌, "묶음 단위로 값을 저장하는 것"

배열에 저장된 객체 하나하나를 원소(element)라고 한고, 각 원소는 0, 1, 2... 순으로 Index를 부여받는다. (번호라고 생각하면 쉬움)

파이썬의 자료형은 2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다.

  • 뮤터블 자료형: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특성
    ex) 리스트, 딕셔너리, 집합 등
  • 이뮤터블 자료형: 값을 변경할 수 없는 특성
    ex) 수, 문자여르 튜플 등

[list(리스트)]

  • 원소를 변경할 수 있는 "뮤터블(mutable) list형 객체이다.
  • [ ]를 사용해서 생성하고, (,) 쉼표로 각 원소를 구분한다.
  • list() 함수를 사용해서 생성도 가능하다.
  • 리스트는 만들기 전에 원소 개수를 결정해야 하기에, 원소가 정해지지 않으면 None을 사용하여 알맞는 리스트를 만들어준다.
list0 = []
print(list0)
# []

list1 = ["A", 1, "가"]
print(list1)
# ['A', 1, '가']

list2 = list()
print(list2)
# []

list3 = list('ABC')
print(list3)
# ['A', 'B', 'C']

list4 = list(range(10))
print(list4)
# [0, 1, 2, 3, 4, 5, 6, 7, 8, 9]

list5 = [None] * 5
print(list5)
# [None, None, None, None, None]

[tuple(튜플)]

  • 원소를 변경할 수 없는 "이뮤터블(immutable) 자료형"이다.
  • ()를 사용해서 생성하고, (,) 쉼표로 각 원소를 구분한다.
  • 튜플은 ()를 생략해서 만들 수 있다. 단, 원소가 1개일 경우에는 원소뒤에 (,)를 붙여야한다.
    ex1) tuple0 = 1,
    ex2) tuple1 = (1, )
  • tuple() 함수를 사용해서 생성도 가능하다.

파이썬에서는 리스트와 튜플을 이용하여 원솟값을 여러 변수에 대입할 수 있는데, 이를 언팩(unpack)이라고 한다

리스트 = [1, 2, 3]
가, 나, 다 = 리스트
print(가, 나, 다)
# 1, 2, 3
profile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