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트캠프 7일차이다. 오늘은 커리큘럼대로 파이썬을 하는 날이다. 역시 어제의 자바를 공부하다가 파이썬을 공부하다보니 훨씬 수월하게 공부를 하는 것 같다. 아마 파이썬도 공부하다가 막히는 날도 있겠지만 지금은 어려워도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열심히 하는게 답이다. 강의를 듣다보면 인터넷이 없으면 개발자들이 개발을 못한다라는 얘기가 있다. 이것은 모든 개발자들이 모든 문법이나 언어들을 머리 속에 기억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지금은 이런 문법은 이 상황에 쓰이겠구나라는 정도만 알고가야겠다.
오늘 배운 것
1. 파이썬이란?
-파이썬은 읽기 쉽게 만든 언어이며, 일종의 번역팩을 설치한다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
2. 변수 선언과 자료형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변수가 참/거짓을 담을 수 있다.
-변수는 또 다르게 컴퓨터가 기억하고 있는 이 메모리 공간을 가르키고 있는 것이다.3. 문자열 다루기
-문자열을 표현할 때 작음따옴표(' ')나 큰 따옴표(" ")를 사용한다.
-숫자에 따옴표를 사용하면 문자열이 된다.
-숫자를 문자열로 표현하고 싶으면? (ex> str(2))
-문자열의 길이를 셀 때는? (ex> len(변수))
-문자열을 자르고 싶다? (ex> text[부터 : 까지])
-문자열을 쪼개고 싶다? (ex> .split)4. 리스트와 딕셔너리
-둘 다 값을 담는 방법이라고 한다.
-리스트는 순서가 중요하게 담는 값
-[ ] 꺽쇠로 표현
-리스트에서 추가하고 싶으면(ex> .append 사용)
-정렬을 하고 싶다?(ex> 오름차순(sort()) / 내림차순(sort(reverse=True)))
-리스트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 확인 가능하고 true나 false로 출력 ex(result = (5 in a_list))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로 값을 담는 것
-리스트 안에 딕셔너리가 있는 형태가 중요하다.5. 조건문
-if, else 중요
6. 반복문
-리스트 안에 있는 값들을 하나씩 꺼내서 써먹는 것이다.
-enumerate는 요소의 순서를 적는 것
-break 반복문에서 탈출할 때 쓰는 것7. 함수
-프로그래밍의 함수는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이다.
a = 24
b = 16
c = 26
print((a+b+c)/3)
text = "sparta"
print(text[:3])
phone = "02-123-1234"
phone = "02-123-1234"
print(phone.split("-")[0])
people = [
{'name': 'bob', 'age': 20, 'score':{'math':90,'science':70}},
{'name': 'carry', 'age': 38, 'score':{'math':40,'science':72}},
{'name': 'smith', 'age': 28, 'score':{'math':80,'science':90}},
{'name': 'john', 'age': 34, 'score':{'math':75,'science':100}}
]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for num in num_list:
if num % 2 == 0:
print(num)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count = 0
for num in num_list:
if num % 2 == 0:
count += 1
print(count)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result = 0
for num in num_list:
result += num
print(result)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max_value = 0
for num in num_list:
if num > max_value:
max_value = num
print(max_value)
def check_gender(pin):
print('')
my_pin = '200101-3012345'
check_gender(my_pin)
def check_gender(pin):
num = int(pin.split('-')[1][0])
if num % 2 == 0:
print('여성')
else:
print('남성')
my_pin = "200101-3012345"
check_gender(my_p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