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트캠프 26일차이다. 주말이 이렇게 빨리지나갈 줄을 꿈에도 몰랐다. 그렇게 생각하는 동시에 벌써 TIL을 작성하는 시간이 되었다. 월요병을 느낄 수 없을 만큼 시간이 빨리 지나간다. 오늘은 오전에 알고리즘 문제 풀이와 컴퓨터 기초에 대한 복습을 하였고, 오후에는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들었다. 확실히 새로운 것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느껴서 좋았고, 모든 개발에 대한 공부를 배울 때 세팅이 중요해서 세팅할 때 헤멘 것 빼놓고는 어려움은 못 느꼈고, 내일 스프링으로 개인 과제 할 때 내가 얼마나 잘 이해했고, 완벽하게 이해는 못하지만 과제를 해결할 만큼 개념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면 될 것 같다.
오늘 배운 것
1. LAN과 WAN의 차이점
-LAN(Local Area Network) : 사무실이나 빌딩처럼 비교적 좁은 범위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WAN(Wide Area Network) : 서로 떨어져 있는 LAN 사이를 전용선 등으로 연결한 광역 네트워크를 말한다.2.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차이점
-클라이언트 : 네트워크상에서 서버에게 서비스를 요청하는 장비
ex>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아이패드 등
-서버 : 네트워크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
ex> 공유기, 도메인 관리기(DNS), IP 할당기(DHCP), 시간과리기(NTP), 게이트웨이 등3. 네트워크 장비와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설명
네트워크 장비 : 전송자와 수신자가 데이터를 전달하여 단말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
네트워크 서비스 : 네트워크 응용 계층 이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4. OSI 7계층의 계층별 역할 설명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 HTTP(웹 접근), FTP(파일 전송), Telnet(통신) / 데이터(Data)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 JPG, MPEG / 데이터(Data)
5계층 / 세션 계층(Session) / 통신 방식 결정 / OS / 데이터(Data)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 신뢰성 있는 통신 구련 / TCP, UDP / 세그먼트(Segment)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rk)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IP주소 결정 / IP / 패킷(Packet)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 물리주소 결정 / MAC 주소 / 프레임(Frame)
1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물리적인 연결과 전시 신호 변환 / Hub, Repeater / 비트(Bit)5. TCP/IP 프로토콜
-IP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TCP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 2개의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여러 프로토콜을 구성하여 만든 표준 네트워크 규칙이 TCP/IP 프로토콜이다.6. 패킷이란?
- 패킷 : 3계층(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전달받는 작은 데이터의 단위
6-1 용도
-인터넷에서 하는 모든 작업에는 패킷이 사용됩니다.
-인터넷에서 사용자 간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이 때 데이터는 패킷으로 전달됩니다.
-이런 네트워크를 패킷 교환 네트워크라 부른다.6-2 구성
헤더 / 페이로드 / 트레일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