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캠프(14일차)

성준혁·2022년 11월 17일
0
post-thumbnail

오늘은 부트캠프 14일차이다. 오늘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에 대해 배웠다. 캡슐화, 추상화, 상속, 다형성에 대해 공부하고 메모장에 필기했놓았었는데 벨로그를 작성하려고 할 때 필기한 것을 보고 작성하려했는데 귀신같이 파일이 사라졌다. 다음에는 모아서 정리해야겠다.... 그래도 복습 다시 한단 느낌으로 내일 다시 강의 듣고 필기해서 벨로그에 OOP에 대한 내용을 작성해야겠다. 그런 기념으로 Git에 대한 내용을 잠깐 적어놔야겠다.

오늘 배운 것

1. Git

-프로젝트의 버전 관리를 위한 도구이다.
-Git을 사용하면 무슨 작업을 했는지도 한 눈에 파악 가능하다.
-프로그래밍 하다보면 아깐 분명 되었는데 안되는 경우가 발생 할 때 어느 부분에서 에러가 났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를 나누어서 작업하고 하나로 합치는 것이 편하고 누가, 언제, 어떤 부분을 수정했는지 알 수 있다.

2. Github

-위에 Git과는 다르다. Github는 Git 원격 저장소 + Git으로 할 수 있는 커뮤니티 기능 서비스이다.
-Github는 Git으로 된 프로젝트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Git을 편하게 사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개발자들의 SNS와 같다.
-또한 다른 사람 공개 프로젝트 구경하고, 내가 관심있는 주제/프로젝트 소식도 받아볼 수 있다.
-프로젝트의 대한 버그나 개선시킬 수 있게 토의도 할 수 있다.

3.sourcetree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Git 도구 중에 하나이다.

4. 개발자/IT 조직에서의 사용

-대부분의 회사에서 Git과 같은 버전관리 툴을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프로젝트 작업내역 관리하기.
-버그 리포트 받고 해결하기
-Github에 있는 저장소를 웹 사이트로 만들기

5. Commit

Git은 commit을 통해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를 저장하고 조회한다.

6. 원격 repo 사용하기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를 Git에서는 repo라고 부른다.
-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리포지토리를 로컬repo라고 한다.
-Github처럼 다른 곳에서 접속할 수 있는 공간에 저장되어있는 것을 원격repo라고 한다.
-로컬 repo 의 commit 들을 원격 repo 에 반영하는 것을 push(푸쉬)라고 함.
-원격 repo 의 commit 들을 로컬 repo 에 반영하는 것을 pull(풀)이라고 함.
-원격 repo 를 내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져올 수도 있어요. 일종의 초기 다운로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걸 clone(클론, 복제) 라고
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