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0411] 컴포넌트와 props, data, prev,el,graphql-variables의 실체

zitto·2023년 4월 11일
0

TIL

목록 보기
39/77
post-thumbnail

✔️ props의 실체

함수형 컴포넌트는 함수이기 때문에
<Presenter count={123}/>{Presenter({count:123})}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Presenter함수의 인자(argument)에는 count가 들어가 있음
그리고 aaa라는 이름으로 넘겨준 인자를 받고있다.
원래 aaa는 props의 자리였음!
따라서, props는 사실 함수의 파라미터라는 것!

tip❗️

함수와 컴포넌트의 차이점
→ 컴포넌트는 return 값으로 JSX가 반환되어야 한다.


✔️el의 실체

//함수의 선언
const getProfile = (aaa,bbb)=>(
		console.log(`${aaa}${bbb}입니다.`)
	)
//함수의 실행
getPrfile("훈이",2)
// <----실행 결과----->
// 훈이는 2입니다.

인자로 넘겨주는게 여러개 일 경우 파라미터도 인자의 갯수만큼 늘어나며,
넘겨준 순서대로 들어오게 된다.

["철수","영희","훈이"].map((el,index)=>(console.log(`${el}${index}번째 입니다.`)))


map을 (”철수”,0) (”영희”,1) (”훈이”,2) 이렇게 실행시켜주는 것!
map에서 넘겨주는 인자의 순서는 배열의 value값 →
해당 value의 insdex 값 순서
로 들어가게 된다.


✔️ prev의 실체

setCount(prev => prev+1)

prev 역시, 함수의 파라미터!

setCount((prev)=>{return prev+1})

setCount 함수의 인자로 화살표 함수가 들어가고, 화살표 함수 안의 prev는 함수의 파라미터가 된다.


[실습]

export default function MapElPage(): JSX.Element {
  // 1. 기본방법
  // ["철수","영희","훈이"].forEach((el,index)=>{
  // 	console.log(el)
  // 	console.log(index)
  // })
  // 2. 매개변수 변경한 방법
  // ["철수","영희","훈이"].forEach((item,idx)=>{
  // 	console.log(item)
  // 	console.log(idx)
  // }) //문제 없이 똑같은 결과 출력!
  // 3. 함수 선언식 방법
  // ["철수","영희","훈이"].forEach(function(item,idx){
  // 	console.log(item)
  // 	console.log(idx)
  // }) //문제 없이 똑같은 결과 출력!
  // 4. el과 index 바꾸기
  ["철수", "영희", "훈이"].forEach((index, el) => {
    console.log(index);
    console.log(el);
  }); //문제 없이 똑같은 결과 출력!
  return <></>;
}

-> el 과 index는 매개변수 곧 바뀔 수 있음.

4번

[state실습]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StatePrevPage(): JSX.Element {
  //javascript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function onClickCountUp(): void {
    // setCount(count + 1);
    // 1. 화살표함수
    // setCount((prev) => prev + 1);
    // 2. 함수 선언식
    setCount(function (prev) {
      //로직 추가 가능
      // if()
      // for()등
      const qqq = prev + 50;
      return prev + 1;
    });
    //3. 매개변수 바꾸기
    // setCount(prev => prev + 1)
    setCount((asdfasdfasdf) => asdfasdfasdf + 1);
  }
  return (
    //html
    <div>
      <div>{count}</div>
      <button onClick={onClickCountUp}>카운트 올리기!</button>
    </div>
  );
}

✔️ graphql-variables의 실체

const CREATE_BOARD = gql`
mutation createBoard($writer: String){
		createBoard(writer: $writer){
			_id
		}
	}
`

$가 붙은 것 들은 변해도 괜찮은 변수
-> 그룹핑을 위한 목적


쿼리를 날릴 때 두 번 적어주는 이유?

const REQUEST = gql`
mutation 한번에요청할그룹이름 ($변수 : String){
	원하는API1(백엔드지정:$변수){
		//받아올 것
	}
	원하는API2(백엔드지정:$변수){
		//받아올 것
	}
}
`

REQUEST 한번에 여러가지 API를 묶어 한번에 요청할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겉에 적어주는 부분은 그룹화를 위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백엔드에 보내지는 부분은 내부에 적힌 api들을 보내게 되는 것!

쉽게 말해 한번의 mutaioncreateProductcreateBoard를 보낼 수 있다는 말.


✔️ rest-api의 문제점과 endpoint


endpoint란?
→ API가 서버에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하는 URL


rest-api를 사용하던 시점의 가장 큰 문제점은 너무 많은 endpoint가 만들어진다는 점 이었다.
rest-api 에서는 post, get, put, delete, update 방식만해도 이미 endpoint가 5개가 생성되기 때문에 이외의 endpoint를 추가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양의 endpoint가 생기게 된다.


✔️ 오버페칭

graphql과 rest-api의 차이점을 간략히 보면,
graphql은 api 요청이후 결과값으로 필요한 것만 받아오는 반면(규모가 큰 서비스에 유용),
rest-api는 결과값을 모두 받아오게 된다.

이렇게 필요없는것까지 모두 받아오는 과정을 오버페칭이라고 부른다.
(못골라! 내가 주는 거 걍 다 받아라;)

✔️ 언더페칭

rest-api는 endpoint에 body를 넣어 보내기 때문에 하나의 endpoint에 하나의 body만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한번에 여러개의 api를 요청할 수 있는 graphql과는 다르게 rest-api는 한번에 하나의 api만을 요청할 수 있다.

내가 필요한건 3개의 api인데 한개씩 여러번 받아오는 것을 언더 페칭이라고 한다.


✔️ graphql과 rest-api의 관계

rest-api 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graphql
graphql은 rest-api의 post 방식에서 data를 넣을 수 있음을 이용해 만들어낸 방식 이다.

즉, 완전히 새로운 방식이 아닌 rest-api의 post방식의 응용이라고 볼 수 있다.

graphql은 post방식의 body에 내가 실행시킬 함수의 이름을 적어서 endpoint를 요청한다.

그렇게 되면 해당 이미 만들어진 함수들 중 매칭 된 함수가 실행되고,
원하는 결과값을 받아 올 수 있게 된다.


✔️ graphql의 장점

graphql은 endpoint문제와 언더페칭과 오버페칭문제를 모두 해결!
네트워크비용 낭비하지 않아도 됨

✔️ graphql의 단점

1. 아직까진 rest-api하는사람이 더 많음
2. open-api는 대부분이 rest-api
3. graphql은 캐시가 안되는건 아니지만 주소가 하나라서 어려움(임시저장 - DB에 안감)
따라서 비용이 효율적으로 감소해야 하는 회사들
큰 서비스에서 자용함.


[graphql의 postman 실습]

profile
JUST DO WHATEVER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