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1.09 WED (DAY 2)
💿 문서 작성 과정
요구사항을 페이지 별로 구분하는 것이 나중에 코드 작업이 끝난 후 API를 연결하기도 편리하고, 팀원별 작업 분량을 나누기도 수월하기 때문에 페이지마다 요구사항ID 의 코드를 구분하여 지정했다.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할 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했다.
1. 큰 기능들을 위주로 어떤 페이지가 필요할 지 리스트 작성
- 전체 페이지 (ALL-000)
: 여러 페이지에서 활용되는 경우
- 장바구니 페이지 (CART-000)
: 로그인한 특정 유저의 장바구니 페이지
- 제품상세 페이지 (DETAIL-000)
: 특정 제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
- 목록 페이지 (LIST-000)
: 카테고리 혹은 그외의 조건별로 조회된 제품 목록 페이지
- 메인 페이지 (MAIN-000)
: 접속 시 처음으로 보여지는 메인 페이지
- 마이 페이지 (MP-000)
: 유저의 정보와 주문내역을 확인, 수정하거나 작성글을 관리하는 페이지
- 결제 페이지 (PAY-000)
: 제품을 테스트 결제할 수 있는 페이지
- 정기배송 장바구니 페이지 (SUBSCRIPTION-000)
: 로그인한 특정 유저의 정기배송 장바구니 페이지
- 유저 페이지 (USER-000)
: 회원가입과 로그인이 가능한 페이지
2. 특정 페이지에서 필요한 요구사항 나열 및 중요도 지정
개별 요구사항에 대한 중요도 지정
상
: 핵심 기능으로 반드시 구현할 기능
중
: 중요 기능이지만 미처 구현하지 못한 상 기능이 있을 경우 후순위로 구현할 기능
하
: 시간이 부족할 경우 구현하지 않을 수도 있는 기능
3. 현실성 및 구현 범위 고려
- 중요도 별 요구사항 수 파악
- 현실성을 고려하여 상 중요도가 너무 많지 않도록 재분배
- 상 - 35 / 중 - 16 / 하 - 6
4. 상세 설명 추가, 기능별 접근 권한 설정
- 요구사항의 기능 설명 추가, 고려할 점이 있는 경우 비고에 기입
- 누구나 사용가능, 로그인한 유저만 사용가능, 비회원 사용가능 등 으로 권한 구분
💿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
아래의 요구사항 정의서는 최종버전으로, 초본작성 후 두세 차례 일부 수정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