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고 있던 강의에서
MySQL을 postgreSQL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과정을 학습하기 위해
postgreSQL을 설치해야하는 상황이 생겼다.
postgreSQL를 처음 설치해봐서 기록!
15.3
Windows 11 x86-64
PostgreSQL Server
PostgreSQL Database Server
db에 접속해서 사용하기 쉽게 제공되는 GUI 툴이다.
postgreSQL을 사용하면서 추가적으로 driver, tool, app 등을 설치할때 사용된다.
지금 설치하지 않고, 필요한 일이 생겼을때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PostgreSQL Database Server 또는 pgAdmin 4 설치시 필요하다.
나는 MySQL : 3306 , MariaDB : 3307 사용중이니 관리하기 편하게 3308로 😊
라고 아무 생각 없이 했던것을 후회한다ㅠㅠ
로그인시 기본포트(5432)로 접속하려고 하기 때문에
왠만하면 기본 설정된 값을 사용하는것을 추천!
오픈 소스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ORDBMS : Object Relation DataBase Management System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한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 파일들을 관리하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들어오는 연결을 수용하고,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데이터베이스 액션을 수행한다.
서버는
다중 클라이언트 연결을 처리
할 수 있는데,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이 오면 각 커넥션에 대해 새로운 프로세스를 fork한다.
클라이언트는
기존 서버와의 간섭 없이 새로 생성된 서버 프로세스와 통신하게 된다.
앞으로 어떻게 사용될지 모르겠어서 일단 설치해보려고 했으나
설치 중간에 뭘 눌러야 할지 모르겠어서 구글링 하던 중 ,
나중에 필요한 도구가 생기면 그때 Stack Builder 를 사용해 설치할 수 있다고 해서
일단 cancel 누름.....
시작메뉴에 pgAdmin 을 검색하면 나온다!
실행!
오오..
처음 실행해볼때의 설레임이란 😊
근데 뭔가 엄청 오래 걸린다... 🐢
3분이 지났는데도 위에있는 하얀 화면만 나와서
( 10분이 지나도 안바뀜 ; 삭제 ㄱㄱ )
시작메뉴에서 sql 혹은 psql
을 검색하면 SQL Shell 이라는 앱이 나온다.
실행!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사용자의 암호 : 문구가 나올 때 까지 엔터를 입력해주면 된다.
사용자의 암호 부분은 설치시 만들었던 비밀번호를 입력!
는 역시
맥이나 리눅스 운영체제는 psql 치면 접속 된다고 하는데
윈도우는 역시
못알아듣는다 ㅠ
이럴땐 환경변수 설정을 해주면 된다.
환경변수를 저장해준 후
powershell 을 사용해서 psql을 입력해보면 반응이 나온다!
나는 port 번호를 변경해주어서 이런 문구가 나오는것 같다.
psql --help 를 입력해보면 사용할 수 있는 명령 옵션 정보가 출력된다.
출력되는 정보들의 제일 마지막 부분에 보면 연결 옵션 정보가 나온다.
포트를 변경
하는 명령 옵션은 -p
(소문자) 이고,
사용자 이름을 지정
하는 옵션은 -U
(대문자) 이다.
windows 터미널로 실행 시
windows 로그인 계정 이름으로 사용자 이름 값이 저장되는 구조로 실행되고 있었다.
처음 postgreSQL을 실행할 때 접속 계정 이름은 postgres
여야만 한다.
다음과 같이 입력을 해주고
psql -p 3308 -U postgres
postgreSQL 설치시 superuser 비밀번호로 입력했던 값을 입력해주면 성공이다.
매번 포트번호와 유저이름을 입력하고 들어갈것인가
vs
psql 앱을 실행해서 비밀번호만 입력하고 들어갈것인가
😬
일단
얼마나 자주 사용할지가 의문이다.;
psql 앱을 일단 시작메뉴에 등록해보는 방향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