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확인과 DATA 입출력 구현작업
요구사항 개요
- s/w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
또는 운영에 필요한 제약조건을 의미
-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유지 보수시 필요한 기준과 근거를 제공
- 요구사항은 개발하려는 소프트웨어의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므로
개발에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줌
요구사항 유형 분류
기능 요구사항
- 시스템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사항
- 시스템이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산을 수행해야하는지 사항
- 시스템이 수행할 기능
- 사용자가 제공받고자하는 서비스
비 기능 요구사항
- 시스템 장비/성능/인터페이스 요구사항
- 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요구사항
- 테스트 요구사항
- 데이터 보안에 관한 요구사항
- 품질 요구사항,제약사항,프로젝트 관리 요구사항, 프로젝트 지원 요구사항
사용자 요구사항
- 사용자 관점에서 본 시스템이 제공해야 할 요구사항
시스템 요구사항
- 개발자 관점에서 본 시스템 전체가 사용자와 다른 시스템에 제공해야 할 요구사항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도출작업(요구사항 수집 elicitation)
- 사용자 시스템 개발자들이 의견을 조율하여 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이해하는 과정
요구사항 분석(analysis)
- 사용자 요구사항의 타당성을 조사하고 비용, 일정에 대한 제약을 설정
- 소프트웨어 범위를 파악
요구사항 명세(spcification)
-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후 문서화 작업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개발자가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작성
요구사항 확인(검증 validation)
- 요구사항 명세서가 정확하고 완전하게 작성되었는지를 검토하는 작업
- 요구사항 도출은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동안 지속적으로 반복
- 도출기법: 인터뷰, 설문조사, 브레인스토밍, 워크샵, 프로토타이핑, 유스케이스 등
- 도출된 요구사항을 토대로 소프트웨어 범위를 파악하고
소프트워어와 주변 환경이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이해
- 사용자 요구사항의 타당성을 조사
- 내용이 중복되거나 상충되는 요구사항에 대한 문제해결
- 정형 분석(Formal Analysis)
: 구문과 의미를 갖는 정형화된 언어를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수학적 기호로 표현 한 후 이를 분석하는 과정
- 요구사항을 분석 후 승인될 수 있도록 문서화작업하는 과정
- 요구사항 문서화 작업시 기능 요구사항은 빠짐없이 완전하고 명확하게 기술해야 하며,
비기능 요구사항은 필요한 것만 명확하게 기술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우며, 개발자가 효과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작성
- 설계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이 확인 될 경우 그 내용을 요구사항 정의서에서 추적 가능해야 함
- 개발자원을 요구사항에 할당하기 전에 요구사항 명세서가
정확하고 완전하게 작성되었는지 검토하는 작업
- 분석가가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이해한 후
요구사항 명세서를 작성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
- 요구사항 명세서의 내용이 이해하기 쉽고, 일관성이 있는지,
회사기준에 맞는지, 누락기능은 없는지를 검증
- 요구사항 문서는 이해관계자들이 검토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 예시
기능명세
- 기능 명세는 소프트웨어 테스트나 품질보증 팀에게도 중요한 문서가 됨
-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이 무엇이고 이것을 어떻게 만들것인지를 정의
웹 페이지 로그인 관련 화면 기능 예시
문제 1
정답 : 1,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