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30)

서창민·2024년 1월 30일
0

자격증

목록 보기
66/70
post-thumbnail

정보처리기사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C언어 문법 구조

항상 main() 이라는 함수로 시작
주석은 “/* ~*/” 로 작성
영문자의 대 ·소문자를 구분 (printf , PRINTF는 다른의미)
문장 끝에는 항상 세미콜론(;)을 붙인다.

C언어 기본 예제

C언어 변수 선언

변수 -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여 식별자를 붙인 것

문자,숫자,밑줄(_)로 구성,  식별자의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나 밑줄로 시작 
대소문자 구분,예약어 사용불가
올바른 예 : age , st_tax , sno1등등
잘못된 예: 1sno , float , st-tax등등

정수형 변수의 기본 예시

C언어의 기본 자료 형식

정수형 

종류
short ( int)
- int형보다 작은 범위의 정수값을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2바이트)
- Unsigned  short 로 선언할 경우 0~2^16-1까지 숫자 표시할 수 있는공간

int
- 2^31~2^31-1(-214748368~2147483647)로 
  일반적인 정수값을 저장하기위한 자료형으로 가장 자주 사용됨
- Unsigned  int 로 선언할 경우 0~232-1까지 숫자 표시할 수 있는공간

long(int)
- int형보다 큰 범위의 정수값표현(4바이트)
- Unsigned long 으로 선언할 경우 0~2^32-1까지 숫자 표시할 수 있는공간

정수형 코드 예시

실수형(소수점이 있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
종류
float
실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으로 4바이트 크기

double
실수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본자료형 (8바이트 크기)
소수이하 자릿수 15자리까지 표현가능

실수형 변수 사용 예시

float my_var= 3.90;
float a1=5.3, b1=6.7; // 한 줄에 여러 개의 변수를 선언과 동시에 값 할당 
double a1;				 할 수 있음.
double a2=43.5;

실수형 코드예시

문자형 
char
ASCII코드 한 문자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
1바이트 크기의 정수를 저장하는 자료형
선언예)
char poom=‘A’;
char poom2=66;

문자열
여러 개의 문자가 모여 이루어진 배열
문자열은 문자열 끝을 나타내기위해 널문자(‘\0’)가 포함
문자열은 포인터를 통해 조작됨
문자열을 조작하기위한 라이브러리존재
선언예)
Char *irum=“hong”;
Char irum[]={‘h’,’o’,’n’,’g’,’\0’};

문자형 아스키코드값 표시 변환 예시

출력함수(printf())

printf()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함수
	printf(“제어문자열”,출력값1,출력값2….)
		제어문자열 – 화면에 표시할 내용으로 일반문자열과 서식문자로 구성
		서식문자 – %로 시작하며 출력값들을 어떤형태로 출력할지 결정

서식문자

%d 정수형
출력할 값을 10진수로 변환하여 출력

%0 정수형
출력할 값을 8진수로  변환하여 출력

%x 정수형
값을 16진수로  변환하여 출력

%f 실수형
실수값을 (float, double)읽어서 소수점 형태로 출력

%c 정수형, 문자형
출력할 값을 한 문자로 출력

%s 문자열
값에 따라서 지시되는 문자열을 출력

출력문 예시

printf(“%d %c\n”,a,b);
=> a 값을 10진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출력, b값을 문자형으로 출력

입력함수(scanf())

scanf() – 사용자로부터 자료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게 하는 함수
scanf(서식문자,변수의 주소)
변수의 주소 
: 데이터 입력값을 변수의 주소로 입력받아야하므로 변수명 앞에 주소 연산자 ‘&’를 붙임

입력함수 코드 예시

profile
Back-end Developer Preparation Student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