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2)

서창민·2024년 1월 18일
0

자격증

목록 보기
38/70
post-thumbnail

정보처리기사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WINDOWS 기본 명령어

CLI 기본 명령어
: 명령 프롬프트 창(CMD)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작업을 수행

UNIX 주요명령어

UNIX와 WINDOWS의 명령어의 차이를 확실하게 알아두자

프로세스 정의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단위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개체
PCB를 가진 프로그램
프로시저가 활동중인 것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지정된 결과를 얻기 위한 일련의 계통적 동작
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사건들의 과정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Process Control Block)

운영체제가 각 프로세스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는 곳
각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 마다 PCB가 생성

<주요 저장 정보>
-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준비, 대기, 실행상태 정보)
- 포인터
  : 부모 프로세스에 대한 포인터, 자식 프로세스에 대한 포인터,
  	프로세스가 위차한 메모리에 대한 포인터, 할당된 자원에 대한 포인터
- 프로세스 고유 식별자, 스케줄링 및 프로세서의 우선순위, CPU레지스터 정보,
  주기억장치 관리 정보, 입출력 상태 정보, 계정정보 등

프로세스 상태

준비(READY)
: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
실행(EXECUTE)
: 준비상태 큐(QUEUE)에 있는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상태
대기(BLOCK=보류)
: 프로세스에 입출력 처리가 필요하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중단, 입출력이 완료될때까지 대기하는 상태
종료(EXIT)
: 프로세스가 작업 해제 된 상태
디스패치
: 실행을 기다리는 여러 프로세스 중 한 프로세스에게 CPU 선점 권한을 부여하는 작업
Wake Up
: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어 프로세스가 대기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Timer-run out
: CPU를 할당받아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할당량 초과시 CPU를 다른 프로세스에 양도 후 자신을 준비상태로 전이하는 것

스레드(THREAD)

프로세스 내에서 작업단위이면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 단위

단일 스레드 
: 하나의 프로세스에 하나의 스레드가 존재, 

다중스레드
: 하나 이상의 스레드 존재

프로세스의 일부 특성을 갖고있기 때문에 '경량 프로세스'라고도 한다

자신만의 스택과 레지스터를 가지며 독립된 제어흐름을 갖느다

프로세스의 구성을 제어의 흐름 부분과 실행환경 부분으로 나눌 때
프로세스의 실행부분을 담당함으로써 실행 기본단위가 됨

운영체제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소프트웨어적 접근 방법

분류
- 사용자 수준 스레드 :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 사용하여 스레드 운용(속도 고속, 구현 어려움)
- 커널 수준 스레드  : 운영ㅊ제의 커널에 의해 스레드를 운용(속도 저속, 구현 쉬움)

장점
- 하나의 프로세스를 여러개의 스레드로 생성하여 병행성을 증진
- 하드웨어, 운영체제의 성능과 운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높일 수 있음
- 응용 프로그램의 응답시간을 단축
- 실행환경을 공유시켜 기억장소의 낭비가 줄어듬
- 프로세스 상호간 통신 향상
- 공통적으로 접근 가능한 기억장치를 통해 효율적 통신

체크포인트

문제 1

정답 : GUI(Grapic User Interface)
설명 : 마우스로 아이콘 메뉴를 선택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방식은 GUI

문제 2

정답 : dir
설명 : WINDOWS에서 ls의 기능을 하는것은 DIR
profile
Back-end Developer Preparation Student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