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OSI 7계층
서로다른 시스템간의 원활한 네트워크를 위해 1977년 ISO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
7개의 계층을 두어 시스템의 복잡도를 최소화 함
인접한 상 하위 계층 간에는 인터페이스를 둔다
TIP
문제가 가장 많이 나온다!!
인터네트워킹 장비
인터 네트워킹 -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의미
종류
- 라우터 :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네트워크 계층관의 최적의 경로 설정, 네트워크주소 사용, 외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사용
- 브리지 : 같은 LAN 프로토콜을 지닌 두 LAN을 연결,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연결
- 허브 :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비
- 리피터 : 감쇠된 신호를 증폭하여 네트워크 길이를 확장하여 깨끗한 신호를 수신하게 함 (물리계층)
- 게이트웨이 : 완전히 다른 프로토콜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하도록 함
계층별 DEVICE와 전송단위
각 계층별 장치들과 프로토콜을 알아두자 !
프로토콜
개요 - 컴퓨터와 컴퓨터, 정보 통신망에서 원거리에 있는 통신 개체 사이의 정확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일련의 통신규칙
기능
단편화 : 전송블록을 같은 크기의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데이터 전송
재합성 : 단편화 된 데이터를 수신측에서 재구성하여 복원
캡슐화 :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각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블록이 되도록 하는 기능
흐름제어 : 데이터의 양이나 통신 속도 등 수신측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성
★에러제어 : 오류나 착오들을 검술하고 정정
★순서제어 : 송신 데이터 순서대로 수신측에 전달
★연결제어 : 비연결 데이터 전송, 가상 회선을 통한 통신로의 개설, 유지, 종료등을 수행
주소지정 : 발생지, 목적지 등의 주소를 명기하여 정확한 송신을 하게 됨
동기화 : 두 통신 개체간의 상태를 일치시킴
다중화 : 하나의 통신로를 다수의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
프로토콜 기본요소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레벨등을 규정
의미(Semantic) 두 기기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정보 규정
타이밍(timing) : 두 개체간의 통신속도를 조정하거나 메세지의 전송 및 순서의 제어정보를 나타냄
프로토콜의 종류
TCP/IP : UNIX의 기본 프로토콜, 인터넷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준 프로토콜
ARP : IP주소로 부터 물리적 주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RARP : 물리적 주소로 부터 IP주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SNMP : TCP/IP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상의 각 호스트에서 정기적으로 여러가지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리를 하기위한 프로토콜
DHCP : LAN에 접속하는 컴퓨터에 IP를 할당,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DHCP서버가 자신의 목록에서 IP주소를 선택하여 할당
TCP/IP 프로토콜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
OSI 7계층의 전송 계층과 네트워크계층에서 동작, 상위 응용프로그램을 구별
TCP
- 데이터의 전송방법을 결정
- OSI 7계층 중 전송계층에 해당, 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패킷의 다중화, 순서제어, 오류제어, 흐름제어기능을 제공
IP
- 인터넷 상에서 각 호스트의 주소를 결정
- OSI 7계층 중 네트워크계층에 해당, 데이터 그램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패킷의 분해/조립, 주소지정, 경로선택 기능을 제공
UDP 프로토콜
- 데이터 전송 전 연결설정 작업을 하지 않음(Connection-less Protocol)
- 데이터 전송속도의 향상을 위해 흐름제어, 오류정정, 기능이 없음
- 빠른 수행속도를 필요로 하는 응용프로그램과 멀티미디어 데이터 실시간 정송에 적합
- 신뢰성이 낮은 데이터 전송과 짧은 데이터 고속 전송에 유리
EX) 유튜브 동영상 서비스
문제
정답 : IP
정답 : 데이터 링크 계층
정답 : 게이트 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