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능사(5)

서창민·2024년 1월 11일
0

자격증

목록 보기
5/70
post-thumbnail

정보처리기능사

  1. 키의 개념 및 정규화

키(key)의 정의 및 종류

- 테이블에서 다른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한 유일한 값을가지는 필드 또는 필드의 집합
- 각각의 튜플을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성격, 한 테이블에 한개는 필수
- 슈퍼키(super key) : 한 릴레이션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유일성(unique)은 만족 최소성(minimaity)은 만족하지 않는 키'
- 후보키 : 한 테이블에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
- 기본키((primary key) : 후보키 중에서 선정에 사용되는 키, null과 중복이 불가능하다.
- 외래키(foreign key) : 릴레이션간의 관계를 표현할때 사용, 참조된 키는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의 속성을 가져야 한다.
- 대체키(alternative key) : 후보키 중에서 선정된 기본키 제외한 나머지 후보키

외래키 예시

무결성 정의 및 종류

- 무결성 : 현실세계의 실제 값과 데이터값과의 정확성
- 무결성 제약조건(integrity constraint) : 부정확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칙

종류
 null(넗값) : 알려지지 않거나 모르는 값, 아무것도 없는 특수한 데이터
 도메인(domain) 무결성 : 특정 속성의 값이 그 속성이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어야 한다.
 참조 무결성 규칙 : 외래키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한다.
 개체 무결성 규칙 :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은 절대로 null이 될 수 없다.

이상현상

삽입이상(insert anomaly) : 사용자는 원치 않는 정보까지도 강제로 입력해야하는 문제 발생
삭제이상(deletion anomaly) : 사용자가 특정 레코드 삭제시 원치 않는 정보도 연쇄적으로 삭제되는 문제 발생
갱신이상(update anomaly) : 중복 데이터의 일부 갱신으로 자료가 불일치 하는 문제 발생

발생하는 이유 ? 
서로 관련없는 속성이 하나의 릴레이션을 구성하기 때문
> 분해과정 즉 정규화 과정이 필요

정규화 과정

하나의 릴레이션에 포함된 속겅들 간에 존재하는 여러 함수 종속관계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속성간 종속관계를 분석하여 주어진 릴레이션을 여러개로 분해하는 과정을 의미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고, 효과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DB의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

트랜잭션

DB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연산 집합, '작업의 논리적 단위'
정상적으로 종료 : Commit 
비정상적 종료 : Rollback

특징
- 원자성(Atomicity) : 트랙젝션 연산은 최소단위, DB에 모두 반영 또는 모두반영되지 않음
- 일관성(Consistency) : 성공적 수행 완료시 일관성있는 DB상태로 변환
- 독립성(Isolation) : 갱신작업이 완료되기 전에는 다른 트랜젝션이 접근하지 못함
- 영속성(Durablilty) :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트랜젝션에의해 변경된 내용은 계속 보존

체크포인트

문제

정답 : 무결성

정답 : 이상(anomaly)

정답 : 기본키

정답 : 트랜잭션 (transaction)
profile
Back-end Developer Preparation Student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