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랩탑 초기 환경 세팅(초보자편)

여리·2023년 10월 5일
0

개발자 직무로 처음 일을 시작하게 되는 경우 새로운 노트북으로 환경셋팅을 통해 개발을 진행하게 되는 순간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누구나 한 번은 필수로 발생할 것이다.

나에게 처음있는 일이라 설레기도 걱정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이를 위한 순간의 조각을 기록으로 남겨 놓는다.

💻 개발 환경 세팅

개발환경을 세팅하기 위해서 나는 크게 3개의 카테고리로 세팅을 구분했다.

  1. 브라우저 및 local application
    ex) 구글 chrome, microsoft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
  2. 협업 툴
    ex) slack, notion, jira, git&github 등..
  3. 기술
    ex)zsh, iterm, homebrew(프레임워크, 기타 유틸리티(mysql, cask, DBeaver, postman 등등...))

✅ 협업 툴도 결국 local application에 해당되는 부분들도 많고 homebrew를 통해 설치가 가능 한 것들도 많다(homebrew로 설치해야하는경우에는 --cask 라는 옵션 명령어를 추가로 입력하여 설치가 가능한다.)
✅ 기술의 경우는 사용하는 언어, 방향성에 따라 너무나도 다양하게 나누어 지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하겠다. 나의 경우는 nodejs를 기반으로 기술을 사용하고 아직 많은 기술을 다루고 있지 않다보니..(그래서 제목도 초보자 편..😇) 우선적으로 저정도만 세팅을 해놓고 하나씩 빌드업 해나간다.

이런 내용들을 자주는 아니더라도 한 번씩 사용하는 경우를 위해서 기록을 남겨놓고 노션에도 남겨놓았다.

다른사람들도 혹시나 이 내용을 본다면 확인해서 초기환경을 세팅하시길...

혹시몰라 이미지로 체크리스트를 남겨본다.

profile
beckend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