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대용량 파일, 로그 확인 및 분할 명령어

1. 최근 생성된 라인 기준으로 신규 파일 생성 > $ tail -n 10000 Log.out > tail_log [&] 최근 로그 순으로 10,000 라인만 잘라서 새 Log 파일을 생성한다. 명령어 뒤에 & 를 붙이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2. 용량 기준으로 기존 파일 분할 (Split 명령어) > $ split -b 10m Log.out 10m (...

2022년 10월 7일
·
0개의 댓글
·

[Linux] Crontab 명령어

1. 생성한 지 30일 이상 된 로그파일 지우기 > 명령어: >: 아래 명령을 매년 매달 1일 새벽 3시 30분에 수행 : /test/test 경로의 파일 타입 중 생성된 지 30일 이상 된 파일 탐색 : find의 결과에 나온 파일 타입을 삭제 : find 의 결과에 특정 명령을 수행 ( {} 에 결과값이 들어감 ) : 디렉토리는 제외하고 파일 타...

2022년 3월 22일
·
0개의 댓글
·

HTTP redirection 코드 301, 302

개요 > HTTP redirection 중 301 코드와 302 코드의 개념 및 차이점 1. HTTP redirection이란? 브라우저가 어떤 URL을 서버에 요청했을 때 HTTP 응답 메시지를 통해 이를 다른 URL로 가도록 지시하는 것 2. 301 redirection 영구 이동(Permanentl Moved), 해당 URL이 영구적으로 새로운 U...

2021년 12월 24일
·
0개의 댓글
·

WebServer 종류

WebServer 종류 1. Apache HTTP 현재 점유율이 가장 높은 오픈 소스 웹 서버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적이며 대부분의 OS에서 사용이 가능 (안정성, 확장성, 호환성이 우세) 다양한 연결 및 요청 처리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한 아키텍처와 모듈을 제공 쓰레드와 프로세스 기반 구조 프로세스: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는 작업의 단위...

2021년 12월 10일
·
0개의 댓글
·

[Linux] yum error: rpmts_HdrFromFdno: Header V3 RSA/SHA1 Signature, key ID c105b9de: NOKEY 해결방법

1. 문제상황 > yum update시 rpmts_HdrFromFdno: Header V3 RSA/SHA1 Signature, key ID c105b9de: NOKEY 에러 발생 2. 원인 GPG(GNU Privacy Guard 또는 GnuPG라고도 지칭)는 리눅스 통신상에서 혹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보안을 지키는 도구 GPG는 공개키 방식의 암호화 기...

2021년 9월 15일
·
0개의 댓글
·

[Network] netstat

netstat > 사용자 PC의 네트워크 상태를 알 수 있는 명령어 프로토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로토콜 ex)TCP, UDP 로컬 주소 현재 열려있는 사용자 컴퓨터의 IP/HostName과 사용중인 포트 상태 연결 상태를 표시 : 연결을 기다리고 있는 대기 상태 : 3 Way-HandShaking 후 연결이 된 상태 : 연결은 종료되었지만 잠시 소켓이...

2021년 9월 15일
·
0개의 댓글
·

[Linux] 권한 관리 명령어

1. 사용자 관리 A. 개요 리눅스 시스템 내부에서는 사용자를 숫자값 형태의 로 관리 사용자의 UID는 0번부터 정수값으로 배분 root 사용자는 0이 할당되며 0번 사용자를 슈퍼 사용자로 인식 참고: 에서 UID 및 GID를 0으로 변환하면 일반 사용자도 root와 같은 슈퍼유저가 됨 시스템 계정을 포함한 일반 사용자는 1번부터 부여...

2021년 9월 15일
·
0개의 댓글
·

[Linux] 방화벽 설정

iptables 설치 확인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설치 방화벽 설정 (centOS 6) 1) 방화벽 정지 2) 방화벽 시작 3) 방화벽 재시작 4) 방화벽 상태 방화벽 설정 (centOS 7) 1) 방화벽 해제 2) 리부팅시 방화벽 실행 하지 않게 하기 출처: https://blog.miyam.net/49 [낭만 프로그래머] 출...

2021년 9월 15일
·
0개의 댓글
·

[Linux] 시스템 시간 설정

서버 시간 확인 서버 동기화 명령어 : 참고: root 계정으로 실행 > Temporary failure in name resolution 에러 발생 시 파일 하단 추가

2021년 9월 10일
·
0개의 댓글
·

[Linux] Xming, PuTTY 연결

1. OpenSSH의 서버가 X11 연결을 전달하도록 구성 /etc/ssh 디렉토리에서 파일의 설정을 변경 ssh_config(client) 내부 서버에서 외부 서버로의 접속 설정 sshd_config(daemon) 외부에서 내 서버로의 접속 설정 ※ daemon: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있다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여러가지 요청에 서비스하기 ...

2021년 9월 1일
·
0개의 댓글
·

[Linux] 사용자 계정, 그룹 계정 관리

1. 사용자 관리 1-1. 개요 > - 리눅스 시스템 내부에서는 사용자를 숫자값 형태의 UID(User Identifer)로 관리 사용자의 UID는 0번부터 정수값으로 배분 root 사용자는 0이 할당되며 0번 사용자를 슈퍼 사용자로 인식 ✨ 참고: /etc/passwd에서 UID 및 GID를 0으로 변환하면 일반 사용자도 root와 같은 슈퍼유저가 됨...

2021년 8월 17일
·
0개의 댓글
·

[Linux] 언어 설정 변경

1. 일시적으로 변경 1) 현재 적용중인 언어 확인 2) 현재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locale 목록 확인 3) 현재 세션에서 변경 (한글 → 영어) 2. 영구적으로 변경 설정 파일에서 수정 CentOS 7 이상 CentOS 6 기존 내용을 주석처리 후 character set 작성

2021년 8월 11일
·
0개의 댓글
·

ORA-28040: 일치하는 인증 프로토콜 없음, No matching authentication protocol 해결방법

발생 원인 Oracle 12c Oracle Server 와 Client 의 버전 차이 ojdbc14.jar를 사용했을 경우 해결방법 1. SQLNET 파라미터(SQLNET.ALLOWEDLOGONVERSION) 값 수정 파일 수정 하위 내용 추가 (클라이언트 버전에 맞게 수정) > SQLNET.ALLOWEDLOGONVERSION_SERVER=11...

2021년 7월 26일
·
0개의 댓글
·

Oracle Listener port 확인 및 변경 방법

Port 번호 확인 및 변경 > 확인 Query : select dbms_xdb.gethttpport() from dual; 변경 Query : exec dbms_xdb.sethttpport(변경할 숫자); 정상적으로 실행했더라도 처음 select Query 실행 시 기본 값 8080 이 아니라 결과 값이 0 이 나올 수 있다. exec Query 실...

2021년 7월 26일
·
0개의 댓글
·

[Linux][RHEL7] 리눅스 시스템에서 디스크 용량 축소 및 확장

/home 디렉토리의 용량을 줄이고 남는 용량을 /root 디렉토리에 적용하여 확장하는 방법이다. 현재 사용중인 시스템의 디스크 정보 확인 명령어 3가지 : 옵션은 human readable format으로,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출력됨. 단, mounted block device만 표시 : 디스크가 unmount 상태인 것 까지 표시됨 : 디스크 정...

2021년 4월 14일
·
0개의 댓글
·

[Linux][RHEL7] 레드햇 Oracle JDK 1.8 설치

Oracle JDK 1.8 다운로드 Oracle 홈페이지: https://edelivery.oracle.com/osdc/faces/Home.jspx 로그인 후 Oracle JDK 1.8.0_281 - Linux x86-64 다운 WinSCP를 사용해 Linux 서버에 파일 이동 ![](https://images.velog.io/images/zeesoo/p...

2021년 4월 13일
·
0개의 댓글
·

[Linux][RHEL7] 레드햇 리눅스 Repository 설정 (RHEL yum 경로를 centOS로 설정)

1. CentOS Repository로 설정하기 1-1. 설정 로 이동 후 명령어로 모든 repo파일을 삭제 파일 생성 버전이 만료되어 repository 접근 불가한 경우 vault 사용 vault: 이전 버전에 대해 엑세스를 제공하는 보관용 사이트로, 보안 업데이트를 지원하지 않음 입력 후 wq로 저장 yum update: 설정되었는지 확...

2021년 4월 12일
·
0개의 댓글
·

[Linux] 기본 명령어 yum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 의 약자로, RPM 기반의 시스템을 위한 자동 업데이터이자 소프트웨어와 같은 패키지 설치/ 삭제 도구 Duke 대학교의 물리학과에서 사용하는 Red Hat Linux 시스템의 관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짐 RPM의 단점인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 RPM과 다른점은 자동적으로 의존성을 처리...

2021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Linux] 리눅스 도메인 설정

시리즈의 리눅스 고정 ip 설정 후 진행한다. 1. 리눅스 서버가 domain과 연결이 되어있는지 확인 2. hosts 파일을 vi 편집기로 열어 domain 등록 3.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 ![](https://images.velog.io/images/zeesoo/post/bfe7ef1e-9854-40b5-be2d-0e8547a18

2021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Linux] 리눅스 고정 ip 설정 & putty로 접속하기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고정 IP 설정을 위해 로 들어간다. 명령어를 실행하여 이더넷 카드 이름 확인 으로 들어가 설정 바꾸기 (으로 바로 들어가도 상관없음) gateway는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야 함. 일반적으로 기본 gateway는 ip 주소의 맨 마지막 자리가 1인 경우가 많다. ex) 192.168.0.11 의 gateway: 192.16...

2021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