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은 쉘과 커널을 거쳐 하드웨어를 제어하게 된다. 우리가 명령을 입력하면 컴퓨터 내부에서 쉘이 받아들이고, 커널이 해석하여 하드웨어를 조작하는 것이다. 운영체제가 유저와 하드웨어를 이어주는 인터페이스라고 한다면, 커널은 응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이
1. Xindows 1) 개념 및 사용법 2) X윈도우 활용 2. 인터넷 활용 1) 네트워크 개념 2)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 3) 인터넷 서비스의 설정 3. 응용 분야 1) 기술 동향 2) 활용 기술
1. 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 1) 권환 및 그룹 설정 2) 파일 시스템의 관리 2. 셸 1) 개념 및 종류 2) 환경설정 3. 프로세스 관리 1) 개념 및 유형 2) 프로세스 유틸리티 4. 에디터 1) 에디터 종류 2) 에디터 활용 5. 소프트웨어 설치
1. 리눅스의 개요 1) 리눅스의 특징 및 장단점 2) 리눅스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 3) 리눅스 배포판 4) 리눅스의 역사 5) 리눅스 라이선스 2. 리눅스의 설치 1) 리눅스 설치의 개요 2) 파티션 3) 부트 매니저 (1) 부트로더 (2) 런레벨
모든 것은 파일이라는 철학을 따른다.모든 상호작용은 파일을 읽고, 쓰는 것 처럼 이루어져 있다.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하드웨어도 파일이라고 생각하고 처리한다.파일 네임 스페이스전역 네임 스페이스 사용 : 전체 파일이 root ➡️ / 디렉토리 안래 있다.쉘(sh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