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데이터베이스에 적재된 데이터 작업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고 보안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ER 모델은 요구사항으로부터 얻어낸 정보들을 개체(Entity), 애트리뷰트(Attribute), 관계성(Relation)으로 기술하는 데이터 모델을 말합니다.ER모델은 피터 첸이 제안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로써 현실 세계를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개념적 구조
My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이하 DBMS)입니다. 이 DBMS는 Oracle(회사)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입니다. 또한 MySQL, MariaDB는 엔진으로 InnoDB를 선택하고 있어 Inno
동기 방식은 Master 노드에 데이터 변경이 발생할 경우 Slave 노드까지 (동시에) 적용되는 것을 보장하는 방식이며, 비동기 방식은 Master 노드의 변경과 Slave 노드로의 적용이 시차를 두고 동기화되는 방식을 말한다.동기 방식의 경우는 Master 노드에
인덱스란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만약 우리가 책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는다고 하면, 책의 모든 페이지를 찾아 보는것은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렇기 때문에 책의 저자들은 책의 맨 앞 또는
key와 index는 무엇인가?key는 테이블에 있는 tuple을 유일하게 식별하는(uniquely identify) attributes 집합을 의미한다index는 테이블에 있는 tuple을 빠르게 찾기 위해 테이블에 적용되는 추가적인 자료 구조다(보통 candidat
출처 :https://gitseok.tistory.com/entry/DBeaver-%EC%83%88%EB%A1%9C-%EB%93%B1%EB%A1%9D%ED%95%9C-table%EC%9D%B4-%EB%B3%B4%EC%9D%B4%EC%A7%80-%EC%95%8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