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tar -czvf {압축 파일명}.tar.gz {압축할 파일1} {압축할 파일2}...파일 압축하기./test 라는 디렉토리에 a1.jpg, a2.jpg, a3.jpg 파일들을 images.tar.gz파일명으로 압축을 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tar -czvf
CURL (Client URL Library Functions)커맨드 라인에서 URL 문법을 사용하여 파일을 전송하는내가 원하는 주소의 페이지에 임의의 값을 전달하고 리턴 값을 받아오는 역할curl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url 모듈을 서버에 설치하여야 한다.■ C
접속자 확인 명령어 : who 또는 wroot tty/1 2019-08-02 15:01root pts/0 2019-08-02 16:02root pts/1 2019-08-2 16:08계정의 모든 세션 끊기 skill -KILL user
//파일 중에서 어떠한 패턴을 검색합니다. 입력으로 파일이 오지 않으면 표준 입력으로부터 입력을 받습니다.형식 : grep 문장 파일명옵션\-A 숫자 라인에서 패턴과 매치되는 문자열을 찾아서 그 이상의 라인을 전부 보여줍니다.\-B 숫자 라인에서 패턴과 매치되는 문
커맨드 라인 ( Command Line )윈도에서는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맥이나 다른 OS에서는 터미널이라고 하는 프로그램입니다.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마우스로 클릭하는 프로그램이 아닌 키보드로 입력을 받아 명령을 수행합니다.저장소 ( Repository )프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의 약자로, 2개 이상의 디스크를 병렬로 처리하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입니다. 과거에는 주로 용량이 작은 디스크들을 연결하여 디스크 용량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는데요. 요즘에는 디스크 성능 향
리눅스(Linux) 계열에서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하는 데몬을 Cron(크론)이라 하고크론(Cron) 이 언제 무엇을 하는지 특정 파일에 저장하는 것을 크론탭(Crontab)이라고 한다.즉 크론탭(crontab)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배치 작업을 스케쥴링 하기 위한
1.HTTP통신과 TCP통신의 개념 우선 HTTP통신과 TCP통신에 대해 알기전에 OSI 7 Layer와 프로토콜이란것에 대해서 알아 가도록 하겠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는 ISO(국제표준기구)에서 만든 네트워크
네트워크 상에서 돌아가는 두개의 프로그램 간 양방향 통신의 하나의 엔드포인트(IP address와 Port 번호의 조합)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연결부통신할 두 프로그램(Client, Server) 모두에 소켓이 생성되야 함서버와 클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는 데이터 통신에서 상위 계층이 전달한 데이터에 붙이는 제어정보를 뜻한다.모든 계층에서, 우리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라고 부를까? PDU를 알고난 후 부터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물론 데이터 자체는 동일하지만
도메인은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주소이다.DNS라는 시스템을 이용해서 IP와 도메인을 매칭한다.DNS란 웹사이트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환경/시스템이다.DNS 시스템 안에서 IP와 도메인 매칭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DNS 서버이다.DNS 서버와
인터넷은 인간이 발명해 놓고도 이해하지 못하는 최초의 발명품이며, 역사상 최대 규모의 무정부주의에 대한 실험이다. \-에릭 슈밋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인터넷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것이다.인터넷은 1960년대
서버 Server1\. 테니스, 탁구, 배구 등 서브를 하는 쪽, 또는 그 사람2\. 음식물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3\.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와 같은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서버는 '제공한다'는 뜻을 가진 'serve'에 사람이라는
네트워크의 정의 네트워크는 Net과 Work의 합성어로 컴퓨터와 같은 노드들이 통신 기술을 통해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통신을 하는 형태를 뜻하며, 데이터 및 리소스를 송신, 교환 또는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이블(유선) 또는 WiFi(무선)로 연결된 2개 이상의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 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개방된 시스템, 시스템 간의 상호 연결성을 부여하는 표준1980년대 네트워크 통신망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통신망이 혼재된 상태였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
전송계층은 프로토콜 내에서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인데,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담당합니다.이러한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바로 TCP와 UDP입니다.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컴퓨터는 항상 TCP 커넥션을 여러 개 가지고 있다. TCP는 포트번호를 통해 이런 여러 개의 커넥션을 유지한다.예를 들자면, 포트번호는 회사 직원의 내선전화와 같다. IP주소는 해당 컴퓨터에 연결되고, 포트번호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된다.TCP 커넥션은 4가지
1. HTTP 메시지란? 단순한 줄 단위의 문자열을 말한다. 이진 형식이 아닌 일반의 텍스트 형식이다. 웹 클라이언트 -> 웹 서버 :이 HTTP 메시지를 요청 메시지라고 부른다. 서버 -> 클라이언트 : 이HTTP 메시지를 응답 메시지라고 부른다. 이 외 다른 HT
모든 http 통신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의 계층화된 집합인 TCP/IP를 통해 이루어진다.예시를 들겠다.ex) http://www.hello12321.com:80/index.html 위와 같은 링크가 있다고 가정하겠다.브라우저가 www.hell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 레벨(Sig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