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에서는 상품과 주문 도메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코드를 작성했다. 회원 도메인을 작성하는 단계에서부터 꽤 단순했고 특히 리포지토리를 만드는 과정은 정말 비슷했기때문에 같은 작업에 @Getter @S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등등에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는 위와 같다. JPA 를 직접 사용하는 계층인 repository가 따로 있고, 비즈니스 로직,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service 층 그리고 controller 로 나뉘어져 있는게 신기했다. 이런 식으로 Package 를 나뉘어
꽤 많은 SQL 지식이 요구 됐었던거 같고 기본편을 안들었던 체로 도메인 모델과 테이블 설계를 이해할려고 하니 힘든 시간을 가졌었다. 이 테이블에서는 회원과, 주문, 등등에 테이블에 많은 관계를 주입 시켜줬는데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연관관계 매핑을 분석할때 강의에서
프로젝트 생성 특별한거 없이 start.spring.io 를 가서 해당 자바 버전과 함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서 build.gradle 을 인텔리제이에 실행시켰다. 주의할 점은 Java의 현재 버전이 몇인지 build.gradle 에서 확인 해주고 처음 생성했던
강의를 다 보고 느낀점: 추후 정리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스프링이란? 예전부터 알고싶어했던 스프링의 기본 원리에 대해 많이 배웠던거 같다. 실제로도 스프링을 공부하기 전에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스프링 부트의 차이점, 많이 들어본 DI의 원리 등등 그냥 단
스프링 입문 강의를 끝냈다. 5시간 21분 밖에 안되는 총 강의 양이지만 미루고 미루고 좀 게으르게 하다보니깐 이렇게 밖에 못했다. 강의를 한번에 듣는게 아닌 자꾸 여러 단계로 끊다 보고 하다보니깐 점점 어떤 내용인지 모를정도로 그냥 받아쓰기 하는 것처럼 코드를 쓰게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