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inciamo, 파이널 프로젝트와 코드스테이츠의 코스가 드디어 끝났다. 끝이 있다면 새로운 시작도 있는 법. 이제는 본격적으로 개발자의 길을 시작해야 할 때다. 생각보다 4주, 아니 5개월이 빠르게 지나갔다. 아직 더위가 가시지 않을 때쯤 시작한 것 같은
인접한 두 요소를 비교한다. 첫번째 인덱스의 값과 두번째 인덱스의 값, 두번째 인덱스의 값과 세번째 인덱스의 값을 비교하여, 정렬하는 방법이다. 이런 정렬을 전체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을 하는데, 이 때 이미 가장 마지막 자리 한 자리는 위치가 지정이 되므로 순회를 하지
이번에 타입스크립트를 쓰면서 typeORM도 써보기로 했다. 익숙했던 sequelize를 떠나, 새로움을 찾아보기로 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종류자체도 nosql로 해볼까 했는데, 너무 무리한 도전인가 싶어서 기존에 쓰던 mysql을 쓰기로 했다. (물론 데이터들 간의
Cominciamo, 새로운 프로젝트가 시작됐다. 캘린더에 아무것도 없는 이틀동안 꿈지럭 대느라 사실 아무것도 첫번째 프로젝트 회고를 썼어야 하는데 못썼다. 이제 기억이 흐려지고 있긴 한데, 주말엔 쓸 수 있을지도 모른다... 기억력아 힘내! 이번 파이널 프로젝트에서
그거랑은 상관없이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하면 할수록 왜 첫번째 프로젝트라고 부르는지 알게 되었다. 모든지 처음은 설레고 왠지 흥분되고, 자신감도 넘치며, 즐겁다. 팀프로젝트도 잘 넘어갈 수 있을 것만 같은 생각으로 시작해서 처절하게 깨지고 파편이 되어 아쉬움만 남기
useState나 useEffect를 쓰지 않고도 만드는 함수. 사용자가 어떤 동작을 하기 전에 확인하는 함수. confirm은 window.confirm 이라고 하는 브라우저의 메소드 MDN Window.confirm() 참고그래서 이 메소드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모
useEffect는 componentDidMount, componentWillUpdate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useState 같은 경우는 라는 식이 있다면, state자리에는 값, setState는 값을 변하게 하는 함수, default 파라미터 자리에는 기본값으로
Cominciamo, 이번주는 보안에 대한 것들을 훑었다. 대표적으로 Authentication, Authorization에 대해서 알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넘 어려웠다. 근데 당연히 어려워야 하는 파트 같다. Authentication과 Authorization?
MVC?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며, 일종의 소프트웨어가 돌아가는 방식이며, 패턴이라고 볼 수 있음.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3분할 해놓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Model 데이터의 정보를 처리함.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
Cominciamo, 이번 스프린트는 SQL과 Database에 관한 것이었는데, react보다 재밌었고, 수월했다. 전체 데이터의 아키텍처를 고민할 수 있어서 머리쓰는 재미가 있었다고 해야하나. 노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불러오는 것이 fetch랑 같다는 걸 알게 된 이
리액트의 생명주기는 아무리해도 헷갈린다.그러니까 컴포넌트에 있어서 변화가 생기면 컴포넌트는 새로 렌더링 되고 화면상에서의 변화로 나타난다. 이 것이 주요 포인트인 것 같다. 이것을 아래와 같은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다. 코드로 이해해 보려고 호용님이 주신 코드를 다시 따
리액트에서 가장 헷갈렸던 건, 결과적으로는 state와 props, 이 두가지였다. 먼저 props를 배웠고, 나중에 state를 배웠는데, 이 순서가 더 헷갈렸던 것 같다. 그래서 state부터 적어보기로.컴포넌트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함수형과 클래스형으로 나누어
리액트 말만 들었는데, 생각보다 너무 생소하고, 어려웠다. 근데 그건 그냥 생소해서 그런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모든 일이 처음보는 일은 어렵다. 그래서 좋은 것도 있다. 사람을 뒤쳐지지 않게 만드니까. 아주아주 샤프하게 만든다. 기본적으로 리액트는 페이스북에서 만든
Cominciamo, 거의 이 부분부터 뭘 하는지 모르고 엄청나게 달려왔다. HTTP블로그 쓰고 있던것도 내려놨다. 그래서 도대에 어떻게 다시 이어야 할지 모르겠어서, 다시 정리한다. 그래서 태그가 TIL today I learn 과 TWIS Today What I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