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답형
- john 계정을 잠그고, 계정이 잠금 해제될 날짜를 2024년 12월 31일로 설정하며, 3일의 유예 기간을 설정하는 명령어 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옵션을 작성하세요.
정답: usermod -L -e 2024-12-31 -f 3 john
- 스왑 파일을 만들고 활성화하는 과정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명령어와 옵션을 채우세요.
- #dd (①) of=/swapfile bs =1K (②) - 1GB의 스왑 파일 생성
- #(③) /swapfile - 스왑 영역으로 설정
- #(④) /swapfile - 스완 파일 활성화
정답
① if=/dev/zero (디스크에 0을 채워 넣은 입력 파일을 지정)
② count = 1024000 (1024000개의 블록을 생성, 1000000 또는 1M도 정답)
③ mkswap (스왑 영역을 설정)
④ swapon (스왑 파일을 활성화)
- 프로세스에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옵션을 작성하세요.
- #nice (①) - bash의 우선순위를 -39로 지정
- #renice (②) - 1222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20으로 지정
-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yum 명령어를 작성하세요.
- #yum (①) - vim 이라는 패키지를 검색
- #yum (②) - 현재 활성화된 저장소 목록을 확인
- #yum (③) - powertools라는 저장소를 활성화
- #yum (④) - curl - 패키지를 설치
-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명령어 또는 옵션을 작성하세요.
- #tar (①) linux.tar.xz - linux.tar.xz 라는 파일을 압축 해제
- #(②) - linux 커널을 수어하기 위해 메뉴 기반의 설정 인터페이스를 실행
- #(③) - 커널 이미지를 빌드
- #(④) -r - 커널 버전 확인
-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명령어를 작성하세요.
- #(①) -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볼륨 그룹 검색
- #(②) - 논리 볼륨 스캔
- #(③) - 물리 볼륨 스캔
- #(④) - -L 5G -n myvolume myvg - 새로운 논리 볼륨 생성
-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로그 설정 명령어 또는 옵션을 작성하세요.
- #(①) - 메일 시스템의 디버그 정보를 기록하기위해 로그 레벨을 설정
- #(②) - 메일 로그 파일 위치
- #(③) - 시스템에서 중요한(critical) 메시지만 기록하고, 커널 관련 로그는 제외
- #(④) -L 5G -n myvolume myvg - 로그 192.168.5.13 IP 주소를 가진 원격 서버로 전송
- 로그 관련 명령어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 #(①) - 시스템 로그에 메시지 기록
- #(②) - 시스템의 일반적인 로그 파일
- #(③) - 불법 로그인 시도 기록 확인
- #(④) - 불법 로그인 시도 관련 로그 파일
- SSH 키 생성 및 복사와 관련된 명령어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명령어를 채우세요.
- #(①) - SSH 공개 키 생성
- #(②) - 원격 서버에 SSH 공개 키 복사
- 파일 백업 및 복원 관련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명령어를 작성하세요.
- #dump (①) - 디렉터리 /home의 파일을 home.xdump라는 파일로 백업
- #restore (②) - 백업한 home.xdump 파일 /home 디렉터리에 복원
작업형
- Apache 설정 관련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명령어나 파일 경로를 작성하세요.
- #(①) - userdir_module 활성화
- #(②) - 사용자 디렉터리 설정 파일
- #(③) - 전체 경로의 사용자 디렉터리 설정 파일
- #(④) - Apache 설정 파일에서 각 사용자 디렉터리의 경로를 지정하는 지시어
- #(⑤) - Apache 서버 재시작
- VSFTP 관련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명령어 또는 설정 파일을 작성하세요.
- #(①) - VSFTP 서버에서 익명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
- #(②) - 로컬 사용자의 chroot 환경 설정
- #(③) - chroot 환경에서 쓰기 권한을 허용
- #(④) - VSFTP 서버에서 접속할 수 없는 사용자 목록을 지정하는 파일 경로
- #(⑤) - 특정 사용자만 접속을 허용 위한 파일 경로
- Sendmail 관련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명령어를 작성하세요.
- #(①) - Sendmail의 구성 파일을 생성
- #(②) - 가상 사용자 테이블을 생성
- #(③) - Sendmail 별칭 데이터를 갱신
- #(④) - 접근 제어 목록을 생성
- 아래의 설명을 읽고 빈칸에 알맞은 DNS 레코드를 작성하세요.

- DHCP 서버 설정 관련 명령어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명령어를 채우세요.

- iptables NAT 관련 빈칸에 들어갈 명령어를 채우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