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L, TLS : CA를 통해 서버를 인증하는 과정과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과정
암호화
: HTTP 통신 중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전송
https://liveyourit.tistory.com/183
- 대칭키 : 하나의 공통 비밀키를 가지고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
- 비대칭키 : 각각 공개키와 비밀키를 가짐. 상대가 나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데이터를 개인이 가진 비밀키로 복호화
- HTTPS에서는 대칭키, 비대칭키 방식을 혼용해서 사용
- 대칭키는 키를 교환해야하고, 비대칭키는 키 교환이 필요없다는 게 가장 큰 차이로 보임
인증서
: Certificate Authority(CA, 인증 기관)를 통해 서버의 신원 보장.
- CA : 서버의 공개키 및 정보를 CA의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인증서를 발급
-> 클라이언트 측이 내장된 CA리스트와 비교하여 서버와의 연결 안전성 확인
-> CA의 공개키로 복호화
실습
: mkcert 설치를 통해 로컬을 인증된 발급기관(CA)로 추가하고, Spring boot project를 생성하여 HTTPS 서버를 만들어 봄.
<느낀 점>
섹션4 시작.
이번에는 거의 한 달 내내 보안에 대해서 배우는 것 같다. 그만큼 중요하겠지.
용어들이 낯설어서 감이 좀 안 왔었는데, 오후 줌 세션도 듣고, 혼자서 자료를 좀 더 찾아 읽어보니까 조금 낫다.
공부하다가 토큰과 라우터라는 용어가 나왔는데, 따로 설명은 없어서 좀 찾아봤다.
아마 곧 배우지 않을까 싶다.
.
.
오전에 꾸준히 프로그래머스 0단계 알고리즘 문제를 풀고 있다.
1월 3일부터 풀었으니까, 오늘 포함 8일정도 푼 것 같다.
현재 0단계 100문제 중에서 쉬운 순서(정답률이 높은 순서)대로 68문제를 풀었고, 32문제가 남았다. 하루 평균 8.5문제씩 풀었군.. 잘 풀려서 좋았던 시간...ㅋㅋㅋ
지금까지는 술술 풀었는데 이쯤되니까 난이도가 올라가서 내일부터는 막힐 것 같다,,⭐️
만약에 너무 막히면, 오전에 문제 풀지 말고 유튜브 바킹독 보면서 공부를 좀 더 해봐야겠다.
0단계도 후반 가니까 이런데, 1단계는 어떤 세상인 것이냐,,
이제 섹션4 끝나기까지 29일 남았다. 그러고 나면 프로젝트..!
엄청 잘하지는 못하더라도 중간은 가보도록 하자.
일단 포기하지 않고 완주하는 게 중요하다.
요즘 산책을 너무 안 했다. 주말에는 가능하면 산책 좀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