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on에 정리해 놨던 Git 관련 내용을 더 편하게 보기 위해 블로그에 정리했다.
(오른쪽 제목 태그를 통해 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git init
로컬 Repository를 생성한다.Git 저장소를 만드는 것이다.
staging area : commit을 하기 전에 commit 할 파일들을 골라놓는 곳이다.repository : commit 된 파일의 버전들을 모아놓는 곳이다.git add 파일명
stating area로 파일을 staging 한다.git add 파일1 파일2
파일이 여러 개 있을 때 동시에 staging을 할 수 있다.git add .
모든 파일들을 staging 한다.git commit -m ‘메모’
버전을 생성하는 것이다.git commit -am '커밋 메시지'
staging 과 commit 과정을 한 번에 처리한다.git add로 버전 관리가 필요한 파일만 staging 하여 추려내고git commit을 하여 기록한다.git status
깃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git log --all --oneline
git log --all --oneline --graph
HEAD : 내 현재 위치q키로 종료할 수 있다.git log --stat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git diff
git difftool 커밋아이디
git restore 파일명
git restore --source 커밋아이디 파일명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git revert 커밋아이디
git revert HEAD 하면 편리하다.

git reset --hard 커밋아이디
git clean 명령어를 찾아서 쓰면 untracked 파일들도 다 지울 수 있다.git reset --hard 커밋아이디git reset --soft 커밋아이디git reset --mixed 커밋아이디
git branch 브랜치이름
git switch 브랜치이름
브랜치이름 인 branch로 이동한다.git switch main 하면 된다.git status를 입력하면 된다.git branch -M 바꿀이름
바꿀이름으로 바꾼다.git branch -d 브랜치이름
git branch -D 브랜치이름

git merge 브랜치명
git switch main 입력하여 main 브랜치로 이동git merge 브랜치명 main branch에 브랜치명 branch를 합침

git add 파일명 , git commit -m ‘메시지’ 를 입력하여 새로운 commit을 생성해주면 브랜치 합치기가 끝난다.

git merge --no--ff 브랜치명 으로 해서 강제로 3-way merge 할 수도 있다.
git merge 브랜치명) 랑 반대(이 땐 main 브랜치로 먼저 가서 함)git switch 새로운 브랜치, git rebase maingit switch main, git merge 새로운브랜치 

git switch maingit merge --squash 브랜치명--squash 옵션을 추가한다.git commit -m '메세지'git branch -M main
git push -u 원격저장소주소 main
-u : 방금 입력한 주소를 기억해두라는 뜻 이다.원격 repository 주소 : https:// ~ .git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
origin 이라는 변수에 원격저장소주소를 저장해서 쓸 수 있다.git push -u origin main 이렇게 푸쉬할 수 있다.-u 를 붙여서 push를 1 번 했으면 git push 만 입력해도 알아서 잘 된다.git remote -v
git pull 하여 원격 저장소 내용을 가져온 뒤 한다.git clone (https://)원격저장소주소
.gitignore 파일을 하나 만들면 저장소에 올리지 않을 파일들을 쉽게 명시가능하다.git add . 해도 스테이징이 되지 않는다.git pull 원격저장소주소
git push 가 가능하다.git pull 하고 나서 git push 하면 된다.git pull 원격저장소주소 브랜치명 입력하면 특정 브랜치만 가져올 수 있다.origin 이라는 변수명을 등록해 놨으면 당연히 사용 가능하다.-u 했었으면 git pull , git push 까지만 입력해도 잘 된다.git pull 명령어는 git fetch + git merge 축약어이다.git fetch : 원격저장소에 있는 commit 중에 로컬에 없는 신규 commit 을 가져오라는 뜻git merge : 그걸 merge 하라는 뜻git log --oneline --graph를 해보면 합쳐진 브랜치도 그림으로 나온다.
git log --oneline --graph를 해보면 합쳐진 브랜치는 안 나온다.
git log --oneline --graph를 해보면 합쳐진 브랜치는 나오지 않는다
참고 유튜브 및 블로그
- [YouTube] 애플코딩 : https://www.youtube.com/channel/UCSLrpBAzr-ROVGHQ5EmxnUg
- [블로그] https://velog.io/@oseo
- [블로그] https://velog.io/@jinne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