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완성 후 배포를 할 때, 구매한 도메인에 직접 연결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AWS
에서는 Route53
으로 도메인 연결을 하는데, Route53
에서 도메인을 구매 후 진행하는 경우가 있고 타사(Cafe24, 가비아 등) 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Route53
에 연결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은 Cafe24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AWS Route53에 연결하는 방법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AWS Route53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React 배포 (AWS CloudFront, Route 53)
Cafe24에서 도매인을 구매할 때, 국제 도메인의 경우
60일
이후부터 도메인을 활성화 시킬 수 있어서 이 점 유의하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Cafe24 도메인 해당 사이트에서 구매하고 싶은 도메인 이름을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는 것들 중 하나를 선택해서 진행하면 됩니다.
간혹가다가 특가 이벤트로 1년에 550원에 구매할 수 있는 도메인이 있습니다.
web-builder.store
해당 도메인도 이벤트를 했었고 이 도메인을 구매해서 진행했습니다. 사진에서는 구매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구매한 도메인에 대해서 기관 이전을 진행해야 되는데, 도메인의 경우 구매를 하면 잠금 상태가 되고 Active 상태로 변경을 해야 됩니다.
도메인을 구매했지만 60일간 ACTIVE 상태 변경이 불가해서 60일이 지나고 진행했습니다...
![]()
Route53
에서 호스팅 영역 생성하여 구매한 도메인 이름 입력- 생성 후 2번째 이미지의 검은색 부분 라우팅 값 4개를 복사해야 된다.
- Cafe24에서 나의서비스관리를 들어가고 도메인 정보변경에서
네임서버 변경
을 들어간다.- 네임서버를
Route53
의 라우팅 값으로 변경해야 된다.네임서버 변경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Route53
에서 라우팅 값 4개를 차례로 입력하면 된다.- 다만 주의할 점은
Route53
에서 라우팅 값은 마지막에.
이 붙는데, 이는 빼고 입력해야 됩니다.- IP주소가 잘 뜨는지 확인 후
변경하기
버튼을 누르면 아래의 사진처럼 뜨게 된다.
- 사진상으로는 24시간 ~ 48시간이 소요된다고 나와있지만 거의 5 ~ 10분만에 완료가 되었다.
- 일정 시간이 지나고 네임서버 변경이 됐는지 확인해보려면 Cafe24의 도메인 검색 페이지에 접속해서 구매한 도메인 입력 후 도메인 정보를 들어가면
Name Server
부분에Route53
라우팅 값이 있으면 변경이 된겁니다.
위와 같이 진행을 하면 Route53
에 외부 도메인을 연결 할 수 있으며 해당 도메인을 CloudFront
나 EC2
에 연결하면 됩니다. CloudFront
연결은 이전 글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다만, 진행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점은 AWS Certificate Manager(ACM)
에서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발급이 되지 않았었는데, 이는 네임서버가 제대로 변경이 되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여서 도메인 정보를 확인해서 네임서버와 Route53
의 라우팅 값이 일치하는지 확인을 해보고 그래도 되지 않는다면 Route53
의 호스팅 영역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해서 네임서버를 맞춰가면 됩니다.
AWS 서브 도메인 카페24에 붙일 수 있나 찾아보다가 여기로 흘러 들어왔는데 익숙해서 보니 태현님 블로그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