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N의 이점
- DDoS 공격 대응 가능
- 하나의 데이터 센터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데이터 센터는 여전히 동작하고 있으므로 다른 데이터 센터에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음
- 사용자 경험 향상
- 페이지 로드 시간을 단축 시켜 사이트 이탈 방지
- 트래픽 분산으로 인한 비용 절감
- 서버를 세계 곳곳으로 분배시켜 낮은 성능의 인터넷, 서버로 운용 가능
✅ Content Delivery Network란?
: 지리적으로 분산된 여러개의 서버를 뜻하며, 웹 콘텐츠를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서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높인다.
✅ CDN 작동 방식
- 요청한 곳과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가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지 확인
- 해당 데이터 센터가 전달해야 할 콘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다른 데이터 센터가 해당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
- 모든 데이터 센터가 콘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원본이 저장된 원본 서버에서 콘텐츠 제공
- 가장 가까운 데이터 센터에서 복사본을 캐싱된 파일로 저장
- 이후 해당 데이터 센터에서 동일한 요청시 원본 서버가 아닌 캐싱 서버가 응답을 보냄
✅ CDN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콘텐츠
1. 정적 콘텐츠(Static Contents)
- HTML 파일, 동영상과 같은 변화가 거의 없는 콘텐츠와 더불어 뉴스 기사 등 개인화되지 않은 대중적인 콘텐츠
-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CDN 캐시 센터에 저장하는 것이 적합
2. 동적 콘텐츠(Dynamic Contents)
- 접속할 때 마다 내용이 바뀌거나 사용자 마다 다른 내용을 보여주는 콘텐츠
- CDN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은 내용이 바뀔 때 마다 CDN 서버들에게도 전달 되어야 함
- 내용이 자주 바뀌는 동적 콘텐츠 자체는 CDN 네트워크가 지원하기 어려움
- 따라서 동적 콘텐츠 자체를 저장하기 보다는 공통적인 HTML 파일 부분을 저장
✅ CDN의 서버 분산 방식
1. Scattered 방식

- 최대한 낮은 응답시간에 집중
- 세계 곳곳에 최대한 많은 캐시 서버를 제공
- 낮은 수용량의 데이터 센터 및 캐시 서버
- 매우 높은 관리비용 및 사용자 요금
- 연결 수요가 적은 지역 대상으로 적절한 방식
2. Consolidated 방식

- 다수의 고성능 서버로 통합하여 운용하는 방식
- 응답시간이 증가하나 관리 및 유지 비용이 낮아짐
- 연결 수요가 많은 지역 대상으로 적절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