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PMP)®

yongseok·2025년 2월 23일
0

IBK기업은행

목록 보기
11/11
post-thumbnail

단기간 학습을 바탕으로 한 PMP 합격 후기입니다.

우선 이 글을 보신 분을 위한 최고의 꿀Tip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절대 답이 될 수 없는 답변

“절대 답변이 될 수 없는” 전형적인 패턴

  1. Don’t Hire
    • 문제가 생겼다고 바로 새로운 인력을 채용해서 해결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 먼저 내부 문제 해결과 원인 파악(Root Cause Analysis)을 우선하고, 현재 팀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
  2. Don’t Fire
    • 팀원에게 문제가 있더라도 해고부터 고려하기보다는, 훈련(Training), 코칭(Coaching), 갈등 해결 등을 통해 조직의 역량을 높이는 방안을 우선 검토합니다.
  3. Don’t Ask for Money
    • 예산이 부족하거나 문제가 발생했다고 바로 추가 예산(Additional Budget)을 요청하지 않습니다.
    • 먼저 프로젝트 내 재조정(재할당, 일정 조정 등)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합니다. 범위나 일정을 최적화해 현재 예산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우선 고려합니다.
  4. Don’t Ask for Help (주의!)
    • 문제가 생겼을 때 곧바로 상부 escalations 또는 외부 지원을 요청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 PM으로서 문제 원인을 직접 파악하고, 팀과 협업하여 해결 방안을 찾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합니다.
    • 단, 팀 내부 전문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팀원들의 전문 지식(Expert Judgment)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불필요하게 상급자나 외부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5. Don’t Do Nothing
    • 상황을 방치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나쁜 선택입니다.
    • 문제 해결을 위해 즉각적으로 실행 가능한 조치(Action)를 취해야 합니다.
  6. Don’t Make Someone Else Do Your Job
    •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범위, 일정, 비용, 위험 관리 등)은 직접 수행해야 합니다.
    • 타 부서나 벤더에게 책임을 전가하거나, PM 역할을 떠넘기는 것은 올바른 접근이 아닙니다.
    • 이해관계자의 역할 분담은 존중하되, PM으로서 해야 할 일은 스스로 이행해야 합니다.

배경

  • PMP를 처음 알게 된 것은 2018.12~2019.02 플랜트 전문인력 양성과정(한국플랜트산업협회) 과정을 수강하면서 PMBOK관련 수업을 통해서 알았다.(당시 영어 응시와 가격으로 인해서 나랑 인연이 없는 자격이라고 생각했다.)

  • 이후 19년도에 여차저차 IT분야에서 일을 하게 되면서 PM의 역할에 대해서 생각해볼 시간이 있었는데, PMP가 IT프로젝트에서도 적용되고 큰 도움이 된다고 해서 관심있게 봤었다.

  • 시간은 흐르고 흘러 24년도 사내에서 인정 하는 자격증이고, 일부 지원도 되고 해서 응시를 위해서 10월 정도에 등록을 했는데, 증빙하는 과정 때문에 접수 과정이 가장 어려웠다.

  • 교육 이수 시점이나, 경력 부분에서 일관성이 떨어져서 대상이 된 것 같다. GPT아니였으면 포기했을 가능성이 높다. 가격도 가격이고….

준비과정

무튼 준비 과정을 서술하면,

지난 10월 경 응시를 위한 절차를 진행했고, 12월에 시험 접수를 하면서 시험일자를 2월로 잡았다.
시험 접수 전 유튜브로 어떤 느낌의 시험이 나오고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찾아봤다.(모 기술사님 영상이었는데, 접근방법, 필수암기사항을 이야기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크게 의미가 없는 것 같다.)
이후 덤프 문제(1417 문항)를 구하고, GPT를 이용해서 해설을 작성했다. 100개씩 끊어서 2200페이지 문서가 14개 나왔고,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문제(26 문항)는 별도 파일로 만들었다.
1월달 CAMS 시험을 마치고 일주일 쉬고부터 쭉 시험 공부를 했는데, 새로운 업무 적응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어, 평일은 주 2회정도 볼 수 있었고, 주말에만 공부할 수 있었던 것 같다.

  • 결국 시험 당일까지 학습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1. #001~600
    2. #1200~1250
    3. Drag and Drop(26개)

가장 도움이 된 것을 뽑으면 GPT고, 자료로 보면 다음의 2개 자료다.

  1. ExemTopic 1417 문항 준비
    • 꼭 여기 아니더라도, 문제를 구해서 계속 익숙해지는 것이 합격에 가까워지는 것 같다.
  2. Pass the PMP with NO STUDY - David McLachlan
    • 문제 풀면서 이게 맞나 싶을 때 영어 영상을 좀 찾아보자 싶어서 발견했고 큰 도움이 되었다.
    • 영상의 스크립트를 GPT에 돌려서 감을 잡고 해설 작성을 위한 프롬프트를 다시 작성했다. 풀이순서를 넣고 답변을 받으니 퀄리티가 올라갔다.

응시

  • 시험 전날 너무 피곤해서 일찍 자고, 1시 반에 일어나 씻고 2시에서 6시까지 스터디카페에서 공부하고 이동했다.
  • 아침을 먹고자 했는데, 시간이 일러서 편의점에서 라면에 삼김을 먹고, 7시에 1층 스타벅스에서 커피한잔을 마시면서 복습했다.
  • 07:45 엘리베이터 타고 6층에 올라갔는데, 시험 시작 30분 전에 도착하는게 좋다는 주의와 테이크아웃 음료는 반입 금지하는 안내를 받았다.
  • 무튼 여권으로 신분확인 후 짐정리 시험에 응시했다.(시험장이 CAMS 때와 동일해서 편안했음)
  • 첫 60문항: 안푼 문제가 2개 정도 표시한 문항이 7개 정도 되서 적당히 검토하고 오! 쉽다 ~라는 생각이 들었고, 쉬는 시간을 갖고 스트레칭 좀 하고 들어갔다.
  • 다음 60문항: 애매한 느낌의 문제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표시한 문항이 12개 정도 된거 같다. 설마...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부족한 것은 아닌데, 시간관리도 신경이 쓰였다. 쉬는 시간에는 화장실을 다녀왔다.
  • 마지막 60문항: 선택 못한 문항이 4개, 플래그가 8개 정도여서 합격은 하겠다 싶어서 최대한 답이다 싶은것에 체크를 하고 30분을 남기고 제출했다.
  • 인터넷에서 흔하게 보던 등급이 나온 합격증이 아니여서 놀랐는데... 일단 Congratulations 를 보고 안심하고 번역기를 돌렸다.
    ProvisionalScoreReport

결과

  • 오프라인 응시로 당일 안내문을 출력받고, 다음날 아침에 메일을 통해서 합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ss
  • 시험을 준비하면서는 제발 T만 나와라~~!! 했는데, 3과목 모두 AT가 나와서 기분이 좋았다.
    3AT
  • 트렉별 수준을 알려주는 화면도 있었는데, 확실히 2과목 Process가 부족했다.

마지막 Tip

GPT에서 다음 프롬프트를 사용해 질문해보세요!

pmp 문제를 영문으로 입력하면, 한글로 번역하고, 다음의 문제풀이 프로세스 템플릿을 적용해 해설을 작성해줘

✅ [STEP 1: 문제 이해 및 상황 분석]
•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 문제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는 무엇인가? (예: 일정 변경, 팀 갈등, 이해관계자 요구)
• 프로젝트의 어떤 단계(계획, 실행, 통제, 종료)와 관련되어 있는가?
• 누가 주요 이해관계자인가?
• 문제에서 영향을 받는 주요 이해관계자는 누구인가? (팀원, 고객, 스폰서, 공급업체 등)
• 이해관계자의 기대와 요구는 무엇인가?
• 긴급성과 중요성 수준은?
• 이 문제를 즉시 해결해야 하는가, 아니면 계획적인 접근이 더 적절한가?
• 프로젝트 성공과 얼마나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가?
✅ [STEP 2: P.A.I.D 기준으로 선택지 평가]
각 선택지에 대해 다음 질문을 사용하여 평가하세요.
1. Priority (우선순위)
• 이 선택지는 프로젝트 목표 달성에 얼마나 중요한가?
• 프로젝트의 핵심 성공 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과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
•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충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
점수:
• 5: 필수적이며 즉각적인 해결 필요
• 4: 매우 중요하나 즉각적인 해결은 아님
• 3: 중간 수준의 중요성
• 2: 낮은 중요성
• 1: 중요하지 않음
2. Alignment (정합성)
• 이 선택지는 PMI 표준과 얼마나 일치하는가?
• 프로젝트의 현재 단계와 절차에 적합한 접근법인가?
• 윤리적이고 전문적인 행동 기준에 부합하는가?
• 문서화, 변경 통제, 이해관계자 참여 등의 표준 절차를 따르는가?
점수:
• 5: PMI 표준 및 프로세스와 완벽히 일치
• 4: 대부분 일치
• 3: 일부 일치
• 2: 일치하지 않음
• 1: 명백히 표준에 위배
3. Impact (영향도)
• 선택지가 프로젝트 성과(일정, 비용, 품질, 위험 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긍정적인 장기적 효과가 있는가?
• 선택지가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가?
점수:
• 5: 프로젝트 성공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미침
• 4: 긍정적 영향
• 3: 중간 수준의 영향
• 2: 부정적 영향 가능
• 1: 프로젝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4. Doability (실현 가능성)
• 현재 프로젝트 자원, 예산, 일정 내에서 실행 가능한가?
• 프로젝트 팀의 역량과 기술 수준에 맞는 접근인가?
• 실현 시 리스크가 최소화되는가?
점수:
• 5: 즉시 실행 가능하며 리스크 없음
• 4: 소규모 조정 후 실행 가능
• 3: 실행 가능하나 리스크 존재
• 2: 실현 가능하나 상당한 조치 필요
• 1: 현재 상황에서는 실행 불가능
✅ [STEP 3: 선택지 점수화 및 비교]
각 선택지에 대해 점수를 기입합니다.
→ 총점이 가장 높은 선택지를 선택합니다.
• 동점인 경우: 
• **Alignment(정합성)**가 높은 선택지를 우선합니다.
• PMI 표준과 절차를 가장 잘 준수하는 선택지가 정답입니다.
✅ [STEP 4: 최종 검증]
• 선택된 답이 PMI의 핵심 원칙에 따라 다음을 충족하는지 확인:
• 이해관계자 참여가 보장되었는가?
• 문서화 및 공식적인 승인 절차가 따랐는가?
• 윤리적 기준과 전문성을 준수하는가?
• 프로세스 그룹과 지식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았는가?
• 다음 질문으로 최종 확인:
• PMI 표준이라면 어떤 선택지를 채택할까?
• 내가 프로젝트 매니저라면 이 접근이 실제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일까?
5. 문제풀이 프롬프트 요약
• STEP 1: 문제의 핵심 파악 및 이해관계자 분석
• STEP 2: 각 선택지를 Priority, Alignment, Impact, Doability 기준으로 점수화
• STEP 3: 총점 비교 및 동점 시 Alignment 우선
• STEP 4: PMI 표준과 일치 여부 최종 검토
• STEP 5: 선택지의 실행 가능성과 현실적 적용성 평가
• STEP 6: 최종 선택지 검증
profile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