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기본 사용법 - 1

yonghanjung·2023년 3월 11일
0

Github

목록 보기
1/2
post-thumbnail
  1. git bash 설치
  2. github repository 만들기

위 내용은 기본적인 것이라 적지 않겠다.

  1. git clone

git clone 전에 해줘야 할 것이 있다.

github settings에 들어가 맨 밑으로 스크롤 시 Developer settings라는 곳이 있다.

Personal access tokens를 클릭 후 Generate tokens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우리가 local에서 repository를 접근하는데 권한을 갖고있는 토큰 을 발급받는 과정이다.

가운데 보이는 Expiration은 토큰 만료기간으로 다른 사람과 공유 작업 시에는 만료 기간을 설정해주는 것도 좋다.
개인 실습이라 만료 기간은 No Expiration으로 한다.

Select scopes는 이 key가 어떤 접근 권한을 갖고 있을 수 있는지를 설정해주는 것이다.

보안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적게하는 것이 좋은 편이다.


이번 실습은 repository에 업로드만 하면 되기 때문에 repo box만 체크한다.


발급 시 이러한 화면이 나오며 key가 나오는데 이 화면을 벗어나면 다시는 보지 못하기 때문에 잘 복사해두자.



다시 repository로 돌아와 초록색 Code버튼 클릭 시 clone할 수 있는 세가지 방법 중 하나를 고르면 된다.

  1. HTTPS
    URL기반으로 하여 개발하기 가장 편한 방법이다.
  2. SSH
    실제 운영하는 서버에 github의 소스 기반으로 배포를 해야할 시 서버에서 해당 key를 사용.
  3. GitHub CLI
    GitHub CLI라는 GitHub Application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이번 실습은 개발용이기 때문에 HTTPS로 한다.


해당 URL 복사 후 cmd에서

git clone 발급해놓은key@URL주소

를 입력한다


잘 clone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ir은 해당 폴더 내에 있는 모든 파일과 폴더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Attribute값으로 h인자를 넘겨주면 히든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데,

.git 폴더에는 github repository에 대한 모든 정보가 들어가있다.

우리가 수정하고 추가하는 모든 정보들이 해당 폴더 내에서 이루어지며, git clone, remote, fetch.. 등 명령어 수행 시 변경이 이루어진다.


다음 포스트는 로컬에서 만든 파일을 원격 레파지토리에 올리는 작업을 수행해 보겠다.

profile
일에 대한 사명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