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알고리즘 수업?

김하은·2022년 11월 1일
0

<데이터 추가>

push :배열 맨 뒤에 데이터를 추가

Array.push(넣고자하는 데이터) Array에는 해당 배열명

unshift :배열의 맨 앞에 데이터 추가

Array.unshift(넣고자하는 데이터) Array에는 해당 배열명

<데이터 삭제>

pop :배열의 맨 뒤의 데이터 삭제.

Array.pop() Array에는 해당 배열명. 여기 소괄호에는 아무것도 적어주지 않는다. 삭제될 것이 정해져 있기에

shift :배열의 맨 앞의 데이터 삭제.

Array.shift() Array에는 해당 배열명.여기 소괄호에는 아무것도 적어주지 않는다.

<데이터 조회>

includes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boolean형태(true/false)로 리턴해준다

Array.includes(찾고자하는 데이터)
Array에는 해당 배열명.
있으면 true,없으면 false

indexOf :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인덱스값으로 반환한다

Array.indexOf(찾고자하는 데이터)
Array에는 해당 배열명.

indexOf를 사용했는데 만약 없는 데이터라고 하면 -1을 리턴해 준다.

객체

객체에 대괄호로 접근할 시점(브라켓노테이션 사용시점)
: 해당 키값의 이름을 변수로 담아 조회할때 해당 키 값에 접근 가능하다

<객체의 추가/변경>

Obj.추가하고자하는 키 명 = 값
Obj에는 객체이름을 넣는다
==> 키가(key) 있다면 변경해주고 없다면 추가해주게된다

<객체의 삭제>

delete Obj.삭제하려는 키 명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