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및 논리 제어를 구현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이다.비지니스 로직과 화면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관심분리와 응집도가 여기서도 사용된다.The important to note about this design is that the
OOP 핫한 주제이다. 정말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는 키워드이다. OOP에대해서 공부를 해보았다. 해보니깐 OOP는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 그냥 다른 개념이었다. 특징으로 다형성, 상속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건 제쳐두고 이글에선 OOP의 핵심
몇번 사용한적은 있지만 아주 대략적으로만 알고 있어서 구글링 해보았다.우선 영어설명을 들여다 보자. A RESTful API is an architectural style for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that uses H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이다. 다른 출처(또는 도메인)로 부터 스크립트를 이용한 json과 같은 데이터를 불러올 때 보안상의 이유로 제한하는 것을 뜻한다.https://domain-a.com => https://do
이전 포스트에서 만들었던 useInterval을 이용해서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출력하는 앱을 만들어보려고 한다.들어가기에 앞서 이번 글은 코드종님의 영상을 참고하여 정리하는 글이다.코좀봐코앱을 만들기 전에 항상 생각해야할것은 입력과출력이다. 리액트 훅을 이용한 함수
react에서 1초씩 카운트 하면서 화면에 출력해주는 함수가 있다고 하자. 그럼 코드를 요렇게 작성할 것이다.그럼 잘 작동할까? 놀랍게도(?) 잘 작동하지 않는다.왜냐면 리랜더링할때마다 setInterval이 새로 호출이 된다. 그럼 setCount를 여러번 만들어내는
일단 찾아본다고 찾아봤는데, 틀린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꼭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도대체 무엇일까?말 그대로 함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패러다임이라고 해도 되려나?함수를 이용해서 차례차례 원하는 값을 얻어
일단 설명하기에 앞서 알아야 할게 있다.현재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이 아닌 tcp/ip 4계층을 따른다. 이유는 tcp/ip 4계층가 시장점유 싸움에서 이겼기 때문. 그래서 tcp/ip 4계층을 기준으로 설명을 이어가겠다.우
URL이라는 것을 일단 설명해야한다. URL은 Uniform Resouce Locator의 약자로서 resource를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받을지 설명하는 식별자이다. 보통 protocol(ex> http) + domain name(ex> www.naver.com) +
Be specific!!python을 WSL안에서 3.6 -> 3.9로 업그레이트 하려고 구글링을 하였다. "python upgrade" 그리고 나오는 대로 해보았으나 안되었다. 명령 프롬프트안에서 python만 업그레이드 되었을 뿐이다. 그래서 "python upgr
사진에서 처럼 await has no effect 라고 되어있으면서 await를 없애면 event가 먹히지 않는다...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은것으로 나온다. await를 입력하자...(진짜 이것때문에 1시간이상을 헤맸다... jest 일해라...)Use .toHaveB
Karl Hadwen의 insta clone 프로젝트를 참고로 하여 나만의 사진 공유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새로 알게된 지식, 디버깅 했던 것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usePhotos를 사용해서 photos를 자동 업데이트 하려고 했다.그런데 이
가장 최상위 컴포넌트에 photos state를 두고 아래로 내려주기 위해 photo랑 following을 dashboard에 옮기려고 했다. 그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생겼다.Uncaught Error: Should have a queue. This is likely
한번에 묶어서 for loop처럼 테스팅을 진행 할 수 도 있다.can refactored into the code below비동기 request가 끝날때까지 기다렸다가 테스트를 진행한다.일종의 await 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우선 JSON server를 설치하자!
what is "smoke testing"? \*\*Smoke testing is the preliminary check of the software after a build and before a release.According to Wikipedia, the ter
cypress 공식문서에 튜토리얼이 정말 잘 정리되어있다.모든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 나와있으니 참고바란다.cypress 공식문서(https://docs.cypress.io/examples/examples/tutorialscypress.json에 baseUrl
드림코딩 유튜버 엘리님의 영상을 보고 진짜 유용하다 생각하여 정리해본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아래 영상링크로!!드림코딩 구글 영상키워드가 고스란히 포함된 결과만 보여줌. 에러 메세지를 구글링할때 유용할 것 같다.쌍따옴표를 이용해 검색한다. ""ex> dock
Instagram Sidebar를 만들다가 발견하게된 문법(?)이다.보통 obj안에 obj를 desturcturing(이하 des)해야한다면 따로따로 des를 해야했다.요런식으로 말이다.근데 한번에 des할 수 있다.짜잔! 그리고 만약 active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인스타 클론하다가 또 다시 배운 기능이다. useEffect안에서 리턴을 한다??찾아보니 componentWillUnmount와 같은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useEffect안에서 return을 하면 정리의 개념으로 실행이 된다. 그전에 useEffect안에서 실행되었던
인스타 클론 하다가 배웠다.lazy는 게으르다는 뜻인데 프로그래밍에서는 조금 다른 의미로 쓰인다. 그냥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누리다 의 개념으로 보면 좋을 것 같다.lazy라는 말은 예전에 바닐라 js의 제너레이터로 지연평가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울때 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