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sma를 공부하기 전에 ORM이 라는 개념이 나와서 공부해보려고 쓴 글이다.ORM은 Object Relational Mapping의 약자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를 이어주는 중재자 역할을 한다.기본적으로 object와 relation data base는 여러면에서
sql처럼 row \* column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한다.그러나 object relational data 이기 때문에 custom type data를 만들어 object로 변환가능하며 객체의 속성, 즉 상속과 다형성, 확장성의 특성을 갖는다.그리고 A
prisma는 ORM으로, 객체를 schema로 정의한다음 그 객체와 내가 선택한 데이터 베이스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이다.server side쪽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CRUD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node js와 typescript를 사용하기에, javascript를
user와 refreshKey를 one to one관계로 설정하고 create한뒤 delete하려 했으나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Foreign key constraint failed on the field: foreign key구글링해보니 referential a
https://bluayer.com/37
\-> 표시될 column을 선택할 수 있다SELECT (points \* 10 + 20) AS discount_factor FROM customers=> point 컬럼을 계산한뒤 discount_factor라는 이름으로 변경한다는 뜻다른 테이블의 컴럼들사이에 조건을
커서로 문제해결!InsertReservation에서 한 번이라도 db 작업에서 에러나면 이때까지 한 db 작업 롤백함 ㅋㅋㅋ
reservation db안에 user db의 정보를 넣었다. 이유는 join 쿼리가 복잡해서 그냥 reservation에 insert할때 클라이언트에서 user 정보를 넣고싶었던것. 하지만 user의 정보가 변경되면 reservation의 정보도 변경해야하는 단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