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지어 제거하기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먼저 문자열에서 같은 알파벳이 2개 붙어 있는 짝을 찾습니다. 그다음, 그 둘을 제거한 뒤, 앞뒤로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문자열을 모두 제거한다면 짝지어 제거하기가 종료됩니
현재 사내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2가지 네비게이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Material Tab Bar NavigatorStack Navigator기본적으로는 Tab Bar Navigator 내부에서 navigator.navigation 메소드를 활용해서 화면 간의 이동을
오랜만에 쓰는 블로그는 회고록으로 시작 !FE개발자로 취직한 지 두 달째.. 나는 개발자라고 말할 수 있나 ?저는 비전공자와 전공자 그 사이 어딘가에 놓여있는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적당히 인서울 권에 있는 대학의 경영학과에 진학하
지난 포스팅에서는 createNativeStackNavigator, useNavigation에 Typescript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했었는데, 이번에는 그 이후에 대해서 알아보자 ! 🪴 스택 네비게이터 내부에 하단 탭 네비게이션 넣기
타입스크립트에서 네이티브 스택 네비게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화면에 어떤 파라미터가 필요한지 정의하는 StackParamList 타입을 정의해줘야 한다. 이 Type을 사용하면 다른 화면을 띄울 때 화면의 이름과, Route Parameter를 검증할 수 있다.타
지난 포스팅에서 for 문과 for of 의 내부적인 동작방식에 차이가 있고, 그것을 좌지우지하는 것이 Symbol.iterator라는 정체불명의 녀석이라는 이야기까지 했으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연 그 녀석이 어떤 녀석인지 !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작성해보도록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거론할 때 꼭 함께 등장하는 것이 바로 이터러블/이터레이터 프로토콜입니다. 이터러블(iterable)은 '순회가능한'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이터레이터(iterator)는 '반복자'라는 사전적 정의를 가지고 있는데, 깊게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코
8월초부터 8월말까지 진행된 인턴쉽에 대한 회고록입니다. 인턴쉽을 진행했던 회사는 패니지먼트(fanagement)이고, 운영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은 팬들(fanddle)입니다. react로 구현하여 배포한 서비스 소개페이지 화면 팬들 어플리케이션(이하 팬들
어김없이 늦은 2차 프로젝트 회고록 !2차 프로젝트가 끝난 후에, 혹은 프로젝트가 끝난 직후에 투입된 기업협업(인턴쉽) 중간에 쓰는 것이 가장 좋았겠지만 기업협업에서 내가 맡은 파트를 책임지고 끝내고 싶은 마음도 있었고, 같이 기업협업을 나간 팀원들의 질문이나 막힌 부
본디 계획은 1차 프로젝트를 배포하고 난 후에 바로 회고를 작성하는 것이었지만 추가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과 코드 리팩토링에 대한 욕심이 커 미처 시간을 내지 못하고 있다가 2차 프로젝트까지 마치고 기업협업을 앞두고 있는 이번주에 회고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STAY
every를 파헤치게 된 계기 : 오늘자 알고리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해 고민하다가 '예전에 이런 메소드가 있었던 거 같은데' 하고 구글링을 하다보니 제로초 사이트에 역시나 소개가 되어있었다. 결국 every 메소드를 활용해서 문제를 풀 수 있었고, 잊지 않기
모든 HTML 요소는 박스(box) 모양으로 구성되며, 이것을 박스 모델(box model)이라고 부른다.박스 모델은 HTML 요소를 패딩(padding), 테두리(border), 마진(margin), 그리고 내용(content)으로 구분한다.내부적으로는 저런 구조를
position 속성은 레이아웃을 좀 더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CSS 속성이다. 굵직굵직한 레이아웃은 flex box나 grid box를 통해서 설정할 수 있지만 세밀한 설정을 원한다면 필수적으로 숙지해야할 CSS property이다.position
Semantic web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왜 웹을 만드는가? 웹사이트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웹사이트를 만드는 목적은 많은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주었으면 하는 속내가 있기 때문이다.많은 사람들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