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답변은 취준생의 입장에서
검색하고 찾은 답변이니 혹시라도
답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 말씀해 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장점
1. 개발의 효율성이 높아짐 - 소스의 동일화, 수정 및 운영관리 용이
2. 접근성이 향상됨.
3. 논리적인 코드로 코드양이 줄어들어서 서버에 부담이 감소됨.
장점
1. 검색엔진이 HTML을 분석할 때 정확하게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음.
2. 접근성의 측면에서, 의미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음
3. div , span의 요소보다 가독성이 높다.
<!DOCTYPE html> 웹 브라우저가 처리할 문서가 HTML이라는 뜻 <a> , <button> , <input><a> 페이지 링크 걸 때 문서간의 URL 연결 <button>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 <input> 사용자 입력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버튼 <del>, <ins><del> 취소선<ins> 밑줄<section> 과 <article>의 차이<section>은 논리적으로 관계있는 문서 혹은 요소를 뜻한다. <article>은 독립적인 콘텐츠
https://www.koreahtml5.kr/front/stats/browser/browserUseStats.do
height 부여height 변경 시 부모도 변경해야 함.overflow: hidden 부여clear: both사용 <figure>:hover, :active등장점
1. 한번에 로드 되어 이미지 깜빡임 현상이 없다. (서버에 이미지 요청 횟수가 한번)
2. 컴포넌트화 기능
단점
1. background-position을 활용하여 직접 위치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
block 엘리먼트의 한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좌우 방향으로는 적용되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적용됨 . 2개의 마진 중 더 큰 마진으로 덮어 씌우는 방식임position: absolute , float: left , display: flex 등 다양한 상황에서 마진겹침이 발생하지 않음.input은 스크린리더에는 읽히지만 화면에는 보이지 않도록 CSS로 스타일 처리 후, label에 스타일링 처리.script, script async, script deferscript
<header> 태그에 있을 때script async
script defer
script를 <body>태그 직전에 삽입하는거와 동작은 같지만 브라우저 호환성의 문제로 현재는 <body>태그 직전에 삽입하는 것을 권장.구성요소
1. URL
2. HTTP Method (GET, POST, DELETE, PUT)
3. JSON
장점
1. 동적으로 엘리먼트를 추가할 때 마다 핸들러를 고려할 필요 없음
2. 상위 엘리먼트에 하나의 이벤트 핸들러만 추가하면 되어서 코드가 깔끔해짐
3. 메모리에 있게 되는 핸들러가 적어지기 때문에 퍼포먼스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undefined true 혹은 false로 나타냄. 실제적인 상태, 활성화, 체크여부, 선택여부등을 알 때 좋음 예시
<input type="checkbox"/>
console.log($('input').attr('checked'))
// undefined
console.log($('input').prop('checked'))
// false
undefined를 갖게됨 → 이럴때는 prop()이 나음.siblings()parent()children()off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