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공부하면서 그 내용을 정리하려고 합니다.
인프런 스프링 입문 - 코드로배우는 스프링부트, 웹 MVC, DB접근기술 강의를 참고했습니다.
spring_initializr링크 이 페이지에서 아래와같이 설정해준다. 강의에선 자바 11로 하는데 난 17로 했다.
그 이유는 여기 참고
tmi를 말하자면 이런거 요즘엔 다 만들어줘서 편하다고 하는데, 나같이 하나하나 궁금해 하는 사람은 이 폴더구조가 어떤생각으로 이렇게 만들어진건지 의문을 떨칠 수가 없었다. 안드로이드 할때도 그랬고, 리엑트 할때도 그랬고, 플러터할 떈 좀 알겠더라. 어떻게 알게됐냐면 폴더구조를 직접 만들어보면 됨. 개고생을 좀 해봐야 이게 편한지 안다.
hello-spring 폴더 압축을 풀고, 그 안에 build.gradle open해준다.
톰캣도 스프링부트와 함께 자동을 띄워준다고 한다.굿~!
웹에서 localhost로 접속하면 환경설정 성공
땡긴다 == 임포트한다 == 라이브러리 사용한다 == 의존한다 머 이런뜻인듯.
오른쪽에 보면 gradle탭이 있는데 거기서 라이브러리들간의 의존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심각한 에러는 로그파일로 모아서 관리해야하기 때문. 주로 아래 두가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관리한다고 하는데, 되게 라이브러리가 중요한거였구나.. 세심하게 봐야겠다.
스프링부트는 맨 처음 실행되면 index.html을 찾는다. 거기가 첫 화면이 된다.
결과물
터미널로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 들어가서
./gradlew build 를 입력해 빌드한다.
cd build/libs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를 순서대로 입력한다. 그리고 다시 localhost:8080로 접속하면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