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툴 사용해보기

Yeseong31·2023년 11월 20일
0

수강 과정명

"스타트업 실무자와 리더 모두 꼭 필요한 "생성 AI 시대" 비즈니스 생존 전략 교육과정의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내용

ChatGPT와 구글 바드를 제외한 생성형 AI 툴 중 하나를 사용해 보고, 그 결과를 자유롭게 기술하시오.

생성형 AI에 입력한 프롬프트

사용한 생성형 AI: RunwayML

"Capture the enchanting Mushroom Castle from Super Mario, where Mario embarks on a quest to rescue Princess Peach. Craft an image that brings this iconic scene to life with vibrant mushroom towers and a sense of adventure."

"Visualize the Mushroom Castle in the heart of the Mushroom Kingdom, a central point in Mario's quest to rescue Princess Peach. Create an image that reflects the whimsical, fantasy-filled essence of Super Mario with its vibrant mushroom towers."

"Imagine Mario's journey to the Mushroom Castle in the Mushroom Kingdom. Craft an image that encapsulates the charm of this iconic Super Mario scene, featuring the castle with its mushroom-shaped towers."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으로 얻은 결과물

링크1
링크2
링크3

제품에 대한 서비스 평가 및 개선점 기술

(1) 성능 및 품질

  • 대체적으로 입력한 문장을 잘 분석하고, 요소의 배치와 배경의 묘사가 잘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카메라의 구도가 이동하면서 세부적인 질감 표현을 하지 못하고, 캐릭터 등은 쉽게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서 그 부분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2) 사용자 경험

  •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프롬프트 창에 그림에 대한 조건, 상황, 묘사를 문장으로 적기만 하면 대체적으로 완성도 있는 그림을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UI적으로는 복잡하게 느끼지 않았습니다.
  • 다만 프롬프트에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 한 번의 시도에 한 번의 문장만을 입력할 수 있는 점은 아쉬웠습니다.
  • 또한 문장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문장이 자연스럽지 않을수록 GPT의 성능이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수많은 학습을 통해 다양한 언어를 학습했음에도 아직은 여러모로 부족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다만, GPT의 발전 속도가 워낙 빠르게 때문에 이러한 아쉬움은 앞으로의 GPT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는 것 같습니다.

(3) 속도와 효율성

  • 프롬프트에 입력을 주면 대체로 1분 이내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텍스트에 대한 전체 결과를 수초 ~ 수십 초 내로 얻을 수 있는 ChatGPT 3.5와 비교했을 때,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라 훨씬 오래 걸릴 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문장을 분석하고 이를 결과로 보여주는 데 걸리는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 않아서 조금 놀랐습니다.

(4) 맞춤화 및 제어

  • 문장 외에도 다양한 프롬프트 내용을 그림 생성의 Input 값으로 적용할 수 있어서 목표하는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지만, 아직은 이를 세부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결과물에서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그림 산출값을 조절하거나 입력 값을 더 다양하게 할 수 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5) 출력 다양성

  • 그림을 생성하는 것을 넘어 입력으로 주지 않았던 것을 자체적으로 생성해 내는 능력에 감탄했습니다. 배경이나 요소의 배치를 적고, 원하는 장면에 대한 설명을 늘어놓은 것뿐인데, 그 배경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카메라 구도를 알아서 찾고, 영상으로 만들어내는 것을 보고, 아직은 부족한 부분이 있음에도 전반적으로 완성도 있는 그림을 출력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6) 입력 데이터 지원

  • 대부분 영어 입력에 대해 분석을 더 잘하는 모습을 보이고, 한국어에 대한 생성 능력은 큰 차이는 없었지만 문장 분석이 조금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7) 전반적인 만족도

  • 생성형 AI는 항상 미디어를 통해 관찰하기만 했지, 이렇게 실습을 통해 만져본 것은 처음인데, 생각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능력과 이를 결과물로 도출해내는 능력이 완성도 있다고 느꼈습니다. 전체적으로 사용에 있어서도 큰 불편함이 없었고, 앞으로 어떤 기능을 보여주고, 성장해나갈지 기대를 가지게 되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profile
역시 개발자는 알아야 할 게 많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