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 윤성우의 열혈 파이썬 기초편
기타 내용들은 웹 검색 및 다른 책의 내용들을 참조하였다.
출처가 필요한 부분은 reference로 남길 예정이다.
https://www.python.org/ 에서 설치할수 있다.
anaconda prompt에서 직접 실행할수 있으나, 데이터 자체가 휘발성이고 저장을 할수 없어서 sublime.text에서 작업한다.
작업하고 나서 파일은 github에 upload한다.
sublimetext에서는 파일 저장시 뒤에 .py를 붙이고 또 하단부에 Python이 떠야한다.
계속 에러가 나서 고생을 했는데 pycham을 깔아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해결은 했다. 전 과정을 다하고 나서 다시 와서 뭐가 문제였는가 확인을 할 필요가 있을것 같다.
그리고 sublimetext에서는 동작 확인을 위해 ctrl + B를 눌러주어야 하단부에서 결과를 확인할수 있다.
Pythontutor.com : 자바스크립트, 파이썬등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site
수식이 복잡하거나 실행되는 순서를 보기위해서 유용한 site이다.
기타 python이외에 언어도 지원을 한다.
print(33+55)
print( 33 + 55 =)
위와 같이 같이 등호를 넣게되면 에러가 나타난다.
print( 7 * 5 / 2)
print( 9 * (5 - 7) / 3)
다음과 같이 ""를 넣지 않으면 error가 나타난다.
print(hello world)
print("hello world")
두가지 차이점은?
print( 3 + 5 )
print(" 3 + 5 ")
위에 것은 수식 그대로의 값 밑에 것은 문자열 그 자체를 하면에 print한다.
만약 다음과 같이 출력하고 싶은 문장 "3 + 5 =" 출력하고 싶은 숫자 8
2가지 방법이 있다.(결과는 동일)
print(" 3 + 5 = ", 8)
print(" 3 + 5 =", 3 + 5)
print("홍연수")
print(1+2+3+4+5+6+7+8+9+10)
> print(2*2*2*2*2) :
단, 출력형태는 5 - ( 3 - 1 ) = 3 이어야함.
print("5 - (3 - 1) =", 5 - (3 - 1))
print(10/2)
print(10*2)
val = 30
파이썬에서 =은 대입이라 하여 수학 기호 =와 의미가 다르다.
"메모리 공간에 30을 저장하고, 그 공간에다 val이라는 이름표를 붙인다."
v1 = 25
v2 = 30
print(v1 + v2)
x = 3 * 50
y = x + 120
z = y / 3
print(z)
x = 2*2*2
print(x)
y = x/4
print(y)
z = y*y
print(z)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메모리 공간과 그 공간에 붙여진 이름을 동일시한다.
v = 25
v = 30
먼저 변수 v에 25를 저장하였다.
그리고 다음 문장에서 v에 저장된 값을 30으로 바꾸었다.
변수에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을 가리켜 "대입 연산자"라고 하는데, 이 연산자가 하는일은 다음과 같이 정리
"=의 오른편에 있는 값을 =의 왼편에 있는 변수에 저장한다."
x, y = 123, 197
print( x, y )
x, y = 100, 800
x = y
print(x, y)
y에 갖고 있는 값을 x에 저장하라는 의미
x,y = y,x의 의미는?
x, y = 1, 2
x, y = y, x
print( x, y )
값의 교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