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On-premise 서버에 VM을 두고 Druid를 설치해보려 한다.
Druid 공식문서를 참고를 참고했으며 이 문서는 local 기준이라 local에서도 따라하기 쉬울 것이다.
이미 설치되어있다면 생략해도 된다.
sudo yum install java-11-openjdk-devel
나는 VM에 파일을 올려야하기 때문에 wget을 사용했다.
local에서 설치하는 경우는 Install Druid에서 최신버전을 다운하고 압축해제 단계부터 따라하면 된다.
sudo yum install wget
wget https://dlcdn.apache.org/druid/25.0.0/apache-druid-25.0.0-bin.tar.gz
받아온 파일을 압축해제 해준다.
tar -xzf apache-druid-25.0.0-bin.tar.gz
Druid를 실행하려니 방화벽 문제가 발생한다.
방화벽을 먼저 해제해주고 실행해보자.
(매번 서버를 킬 때마다 방화벽 해제를 해야하는 것 같은데.. 이 부분을 좀 더 알아봐야겠다.)
sudo firewall-cmd --state
sudo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888/tcp --permanent
sudo firewall-cmd --reload
cd apache-druid-25.0.0
sudo yum install perl
./bin/start-druid
start-druid를 실행하면 4250m 이상의 메모리가 필요하다고 뜨는 경우가 있다.
나같은 경우는 VM의 메모리를 3072이라서 5795으로 늘려주었다.
(4250 이상으로만 설정하면 된다.)
나같이 VM에서 실습하는 경우는 http://[서버IP]:8888/ 로 접속하면 되고,
local에서 실습하는 경우는 http://localhost:8888/ 로 접속하면 된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됐다면 아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글에선 데이터를 불러오고 Query를 작성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