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데브코스 WIL #모모개발3주차

에구마·2024년 1월 16일
0

1️⃣7️⃣주차 24.01.08 ~ 24.01.14

sprint3

이번 스프린트는 지금까지 작업 한데 모으기 + api 연결 싹~~

api 연결

지난 스프린트에서 axiosInstance를 만들었고 이를 활용해서 METHOD별 요청 함수를 구분해두었다. 메소드별이 아니라 매 호출마다, 그러니까 훨씬 커스텀된 함수를 만들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조금 더 추상화된 함수로 만들어두고 사용하고 싶어서 여기까지 진행했다.

  • useAxios
  • customAxios 호출

useAxios 훅의 경우 useEffect 등 내부에서 호출할 수 가 없어서, 이런 경우엔 기존에 만든 customAxios 요청함수를 사용한다. 그래서 이 두가지 요청 형태가 혼용되고 있다
->

리덕스 툴킷

이번 프로젝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로 리덕스 툴킷을 선정했다. 큰 이유는 학습이었다. 중앙 상태관리, FLUX 패턴을 학습을 해보자. 다른 좋은 유명한 것도 많지만, 리덕스를 많이 썼었고 이젠 추세가 많이 바뀐 이유도 써보면서 알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었다.
여러 강의도 찾아듣고 공식문서 보고 실험도 해보면서 많이 배웠다. 배우면서 의문점이 많이드는 그런 라이브러리였다.. 후에 멘토님께도 질문했는데, 이게 리덕스에서 다른 라이브러리로 넘어가게 되는 의문을 가지게 되는거라고 맞다고 하셨다. 허허

공부한 것을 열심히 정리해보았다 ~ 리덕스 툴킷 정리



sprint4

배포전 최종_진짜최종_이게진짜최종_찐최종

분업하고 있던 걸 다 develop 브랜치에 합쳤다.
최종 본을 보면서 이슈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 등을 싹 적어 두었다.

각자가 맡았던 부분에 대해서 이름을 할당해두고 작업했다. 하나씩 해치워가면 그 밑으로 새로운 이슈들이 또 생긴다 ㅎㅎㅎㅎㅎ

주말 이틀 간의 스프린트였지만, 마감일을 앞둔 날이어서 팀원들 모두 열심히 해주었다. ㅠ ㅅ ㅠ

각자의 컴포넌트나 페이지는 있지만 프로젝트 전체에서 서로 어느정도 연결이 있다보니 한 작업이 끝날때까지 기다리는 시간도 있었다. 그 때 둘러보다 이슈를 발견하기도 하고,,, 최종 발표용 자료작성도 같이 했다.

profile
코딩하는 고구마 🍠 Life begins at the end of your comfort zon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