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기록하는 글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때 인터넷 구조로 배웠는데, 자료를 좀 더 찾아보기 위해서 검색해보니 "인터넷 구조" 라는 용어가 여러 의미로 혼용되고 있는 것 같다. (이 포스팅에서 설명하는 인터넷 구조는 주로 TCP/IP 4계층이라고 많이 설명하는 듯 하다.) 일단 강의시간에 인터넷 구조로 배웠으니 인터넷 구조로 작성한다.
표준 구조로 OSI 7계층 외에도 인터넷 구조가 있는데, internetworking, 즉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이 연결의 기본이다" 라는 생각으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사실 인터넷 구조는 표준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전세계적으로 현재 연동이 되는 것이 인터넷 뿐이기 때문에, 사실상의 표준이 되어 현실 세계에서 따라야 되는 계층구조가 된 것일뿐이다. 즉, 계층화를 그대로 따르지는 않고, 융통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 인접한 아래층을 건너뛰고 통신하는 것(bypass)과 같은 방식도 가능한 거다. 실제에 필요하다면 쓰는데, "알게"만 하면 된다. 또한 설계와 구현을 병행해서 진행한다.
인터넷 구조는 아래에서부터 네트워크(1~3 계층), IP(3~4계층 사이. 한 계층에 완전히 대응하지 않음), TCP/UDP(4계층), application(7계층)이 있는데, IP가 중심에 있는 모래시계 형태의 모양이다. IP는 중심에 있어서 항상 통과하는, 그만큼 중요한 기본 프로토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