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전, 가용 영역, 엣지 로케이션

CHEESE·2021년 8월 18일
0

AWS는 전세계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요 지역에 IDC를 자체적으로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 리전 (Region)

물리적으로 위치가 다른 나라들을 대상으로 동일 서버를 사용하게 되면 재해 등으로 서버가 정지되었을 때 대처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아마존은 주요 국가에 리전을 구축하여 해당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은 2016년 1월 28일 서울 리전이 오픈되었다.

📌 가용 영역 (Availability Zone)

흔히 알고 있는 데이터 센터(IDC)를 의미한다.
AWS 리전 1개 당 n개의 가용 영역을 보유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용 영역이 위치한 데이터 센터는 같은 리전이라도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다. 이는 다양한 이유로 가용 영역이 작동 불능이 되더라도 다른 가용 영역에서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울 리전에는 3개의 가용 영역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 엣지 로케이션 (Edge Location)

아마존의 CDN 서비스인 CloudFont를 위한 캐시 서버들의 모음을 의미한다.

CDN 서비스란?

  • Content Delivery Network
  • 컨텐츠를 서버와 물리적으로 사용자들이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전 세계 곳곳에 위치한 캐시 서버에 복제해주는 서비스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서버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보다, 가까운 곳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는 것이 빠르기 때문에 전 세계 주요 도시에 캐시 서버를 구축해 놓는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