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IoC 용어 정리

CHEESE·2021년 10월 19일
0

스프링이 IoC 방식으로 관리하는 오브젝트
스프링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오브젝트가 빈은 아니다.
스프링이 직접 생성과 제어를 담당하는 오브젝트만 빈이라고 부른다.

빈 팩토리

스프링의 IoC를 담당하는 핵심 컨테이너
빈을 등록하고, 생성하고, 돌려주고 그 외에 부가적인 빈을 관리한다.
보통은 바로 사용하지 않고 이를 확장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이용한다.
BeanFactory라고 붙여쓰면 빈 팩토리가 구현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인터페이스의 이름이다.
이 인터페이스에 getBean() 과 같은 메소드가 정의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빈 팩토리를 확장한 IoC 컨테이너
빈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본적인 기능은 빈 팩토리와 동일하다.
스프링이 제공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한다.
빈 팩토리라고 부를 때에는 주로 빈의 생성과 제어의 관점에서 이야기한다.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지원 기능을 모두 포함해서 이야기한다.
ApplicationContext라고 적으면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구현해야 하는 기본 인터페이스를 가리킨다.
ApplicationContextBeanFactory를 상속한다.

설정정보/설정 메타 정보

스프링의 설정정보란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 또는 빈 팩토리가 IoC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타정보를 의미한다.
configuration이라고 하는데, 구성정보 / 형상정보라는 의미이다.
스프링의 설정정보는 컨테이너에 어떤 기능을 조정하는 경우에도 사용하지만, 그보다는 IoC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구성할 때 사용한다.

(IoC) 컨테이너

IoC 방식으로 빈을 관리한다는 의미에서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나 빈 팩토리를 (IoC) 컨테이너라고 한다.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보다 추상적인 표현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IoC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포함해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통틀어 말할 때 주로 사용한다.

출처) 토비의 스프링 3.1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