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랜: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눈에 보이지 않는 전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컴퓨터를 서로 연결함.무선랜의 장.단점장점: 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이 엉키거나 걸리적거리지 않아 편하고, 랜 케이블이 닿지 않는 옆방에서도 통신이 가능함.단점: 유선보다 속도
OSI 모델의 각 계층 간에 데이터가 전달되고 처리되는 전체 과정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데 필요.데이터 링크 계층: 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필요.전송 계층: 목적지에 데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 &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으로 나뉨 (클라이언트, 서버)서버에는 웹 서버 프로그램과 메일 서버 프로그램 등이 있는데 응용 계층에서 동작한다.응용 계층을 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응용계층에서는 사용자 측(클라이언
23. 전송 계층의 역할 1.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계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내는 것은 가능.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게되면 책임지지 않음. 전송계층: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 오류
랜에서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으로 이더넷을 사용!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데이터 링크 계층 기술이 필요함.데이터 링크 계층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규칙들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함!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떄는 0과 1의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전기신호의 종류 아날로그 신호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디지털 신호데이터가 어떻
2.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규칙인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하는 chap 6. 네트워크의 규칙 1) 프로토콜이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면 대화가 통하지 않으나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처음부터 어떤 언어로 대화할지 정해 놓으
본 포스팅은 GDSC PKNU 네트워크 스터디에서 진행하는 내용입니다.네트워크(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간의 데이터(파일) 전송, 웹 사이트 열람, 메일 송.수신과 같은 일을 할 수 있음.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네트워크나
Primitive Type(원시타입)한번에 하나의 값만 가질 수 있음.하나의 고정된 저장 공간 이용.Non-Primitive Type(비 원시 타입)한번에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 있음.여러 개의 고정되지 않은 동적 공간 사용.객체는 비 원시 타입에 해당하는 자료형.객
함수 표현식: 함수를 이름이 없도록 만들어서(무명함수) 변수에 담아서 활용하는 방식\-이때, 1번라인에서 실행을 했으나(선언 전 실행), 7번라인에 선언이 되어있음=> 호이스팅함수 선언식은 호이스팅이 이루어져서 사용 가능하나, 함수 표현식은 호이스팅 적용이 안 됨! 함
값(value)은 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함.평가는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함.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며, 메모리에 2진수, 즉 비트의 나열로 저장된다.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
N \*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대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탐색: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1) 그래프, 트리 등 자료구조 안에서 탐색하는 문제를 자주 다룸.2)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 ==> BFS, DFS자료구조: 데이터를 표현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 ==> 스택과 큐는 자료구조의 기초 개념!1)
재서기는 수혀니와 교외 농장에서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농장에는 헛간이 많이 널려있고 재서기는 그 중에 하나에 숨어야 한다. 헛간의 개수는 N(2 <= N <= 20,000)개이며, 1 부터 샌다고 하자.재서기는 수혀니가 1번 헛간부터 찾을 것을 알고 있다.
'최단경로 알고리즘'은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그래서 '길 찾기'문제라고도 불림.'최단경로 문제'는 보통 그래프를 이용해 표현하는데, 각 지점은 그래프에서 "노드"로 표현되고, 지점간 연결된 도로는 그래프에서 "간선"으로 표현된다.위의 그림과 같은 그래프
n가지 종류의 동전이 있다. 각각의 동전이 나타내는 가치는 다르다. 이 동전을 적당히 사용해서, 그 가치의 합이 k원이 되도록 하고 싶다. 그 경우의 수를 구하시오. 각각의 동전은 몇 개라도 사용할 수 있다.사용한 동전의 구성이 같은데, 순서만 다른 것은 같은 경우이다
위 그림은 크기가 5인 정수 삼각형의 한 모습이다.맨 위층 7부터 시작해서 아래에 있는 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아래층으로 내려올 때, 이제까지 선택된 수의 합이 최대가 되는 경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아래층에 있는 수는 현재 층에서 선택된 수의 대각선 왼쪽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