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체육복

YoungHyun Kim·2023년 11월 27일
1

매일매일 알고리즘

목록 보기
14/30

문제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풀이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번호와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번호가 정렬되어 입력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각 배열을 정렬합니다.

  • 체육복을 잃어버린 학생 =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 인 경우를 먼저 카운트합니다. 이 때,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에는 변화가 없을 것입니다.

  • 전체 학생의 수는 30명 이하이기 때문에, 윗 단계에서 카운트된 학생의 번호는 100으로 세팅합니다.(여기에서 제 무지가 드러납니다. 해당 번호의 학생들을 앞으로의 연산에서 제외할 마땅한 방법이 없어 궁여지책으로 이렇게 해결했습니다.)

  • 이 후에는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에게 여벌의 체육복을 빌려줄 학생이 있는지 카운트합니다. 도난당한 학생의 번호 +1, -1 범위 이내에 여벌 체육복을 가진 학생이 있는지 체크하는 방식으로 사용했습니다.

  • 이렇게 카운트된 학생의 수를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수로 계산하면 해결!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n:Int, _ lost:[Int], _ reserve:[Int]) -> Int {
    var result = n, arrLost = lost.sorted() , arrReserve = reserve.sorted()
    for l in 0..<arrLost.count {
        for r in 0..<arrReserve.count {
            if arrLost[l] == arrReserve[r] {
                arrReserve[r] = 100
                arrLost[l] = 100
            }
        }
    }

    for l in 0..<arrLost.count {
        if arrLost[l] != 100 {
            result -= 1
            for r in 0..<arrReserve.count {
                if arrLost[l] == arrReserve[r] - 1 || arrLost[l] == arrReserve[r] + 1 {
                    arrReserve[r] = 100
                    arrLost[l] = 100
                    result += 1
                }
            }
        }
    }
    return result
}

회고

  • 처음으로 애먹은 구간 : 학생들의 번호가 정렬되어 들어오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 부분.

    • 앞으로는 입력이 정갈하게 들어온다는 생각은 버리고 세세한 것 하나부터 생각하며 코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을 것 같다!
  • 두 번째... :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체육복 하나를 도난당했을 때 어떤 식으로 처리할 것인지 고민을 많이 했다. 결론은 그냥 반복문을 두번 작성하는 것이었다. 아마 하나의 반복문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있을 것인데, 일단은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려고 한다... 흑흑

  • 세번 째 : 없음. 크게 힌트를 보지 않고 반례들만을 찾아가면서 내가 노력해서 풀었기 때문에 오늘도 매우매우 만족스러운 알고리즘러 생활이었다~

profile
iOS 개발자가 되고 싶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