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과일 장수

YoungHyun Kim·2023년 11월 22일
1

매일매일 알고리즘

목록 보기
6/30

문제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3 ≤ k ≤ 9
3 ≤ m ≤ 10
7 ≤ score의 길이 ≤ 1,000,000
1 ≤ score[i] ≤ k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


풀이

  • score 배열을 크기 순서대로 (오름차, 내림차순 상관 없음) 정렬한다.
  • 한 상자에 들어가는 과일의 갯수 m 개만큼, score 배열의 큰 요소부터 추출해서 박스(temp 변수)로 포장한다.
  • 박스 안에 있는 제일 점수가 작은 과일과, 과일의 갯수 m을 곱해서 이익을 totalGain 변수에 더한다.
  • 박스(temp)를 비우고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위 과정이 끝난 후의 totalGain 변수의 값이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이라고 생각하고, 코드를 작성했다.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k:Int, _ m:Int, _ score:[Int]) -> Int {
    var totalGain = 0
    var sortedScore = score.sorted(), temp: [Int] = [] // 입력으로 받은 score 배열을 오름차순 정렬해서 변수에 저장, temp라는 이름의 박스(배열) 생성
    while sortedScore.count >= m {
        for _ in 0..<m {
            temp.append(sortedScore.removeLast())
        }
        totalGain += temp.removeLast() * m
        temp = []
    }
    return totalGain
}

이 코드로 채점을 진행하면, 무리없이 문제를 통과할 수 있다.


회고

  1. 위의 코드와 같이, 이 문제에서는 특별히 신경써야 할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그렇다고 생각했다.)
    굳이 꼽자면, 6번 줄에 while 문의 조건이다. 이 조건은 박스를 가득 채울 수 있을 때, 판매하고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sortedScore 배열의 원소의 갯수가 m개 이상일 때만 연산을 수행하도록 적어둔 것이다. 이 조건이 없으면 sortedScore 배열에 추출할 수 있는 원소가 더 이상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점을 유의하고 코드를 작성하면 무리없이 풀어낼 수 있는 문제였다.

  2. 굳이굳이 또 생각하자면... for 문 내의 연산을 끝내고 박스(temp배열)를 비워줘야 한다는 것...? (절대 잘난 척 하려는게 아니다. 난 바보가 맞다.)

profile
iOS 개발자가 되고 싶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