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isEmpty -> Bool
앞으로 조건절을 작성할 때 Bool 자료형의 변수를 어떤 식으로 사용할 수 있을 지 많은 고민을 해보는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 같다.
오늘 진행한 알고리즘 코딩문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한 함수에는 아래 두 가지 함수가 있다.
Array.removeLast()
: 현재 배열에서 맨 마지막에 있는 요소를 추출해서 반환하는 메소드Array.removeFirst()
: 현재 배열에서 맨 처음에 있는 요소를 추출해서 반환하는 메소드두 메소드 모두 배열 내부의 요소를 추출, 그러니까 메소드가 실행되면 기존 배열에 요소는 삭제되고 이 값을 타 변수에 새로 저장해서 사용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면, 배열의 요소 전체에 대해서 특정 값과 비교를 진행하고 작업을 끝낼 수 있는 조건을 작성하는 데에 유리하더라.
항상 함수의 반환값이 어떤 데이터 자료형을 가지는지 살피고 적절한 반환값을 설정하도록 하자! (이 부분에서 실수하기는 어렵다... Xcode는 모두 알고있어서 잘못하면 빌드시켜주지 않는 무자비한 IDE이니까...)
모의고사 문제에서는 제일 어려웠던 부분이, 세 가지의 값을 비교해서 최다 정답자를 산출하는 부분이었다.
Array.max()
메소드를 활용해서 해당 배열의 최대값과 각 요소를 모두 비교하는 반복문을 작성하는 것이 그 방법이었다.아마 조금 더 찾아보거나, 다른 사람들이 해결한 방법을 보면 더 깔끔하고 더 멋지게 코드를 짤 수 있는 방향이 많을 것이다.
그래도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나 자신에 대해서 조금은 뿌듯함을 느낀다. (그래도 되지 않을까 싶은데...)
더 발전하고 싶다. 나중에 지식이 늘어나게 된다면 이 문제들을 하나씩 다시 찾아보면서 더 간단하고 읽기 쉬운 방법으로 리팩토링(?)하는 작업을 꼭 해야지! 라고 다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