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언가가 살짝 발전된 프로젝트 서버 세팅 과정 및 외부 DB server 연결

정현진·2023년 1월 2일
0

앞서 작성했던 포스트들은 초반에 살짝 삽질했던 서버 세팅과정이 담겨있다. 여기서는 아마 그보다도 살짝 발전된 모습의 서버 세팅 과정이랄까 ..?
하지만 갈 길이 멀다 ..!

< 프로젝트 서버 세팅 과정 >

- db :  Postgresql
- web server : spring boot 내장 tomcat

  1. sudo apt-get update

  2. apt install openjdk-11-jdk
    - 맞는 자바 버전으로 설치

  3. adduser [username]
    - root에 파일 올려서 작업하면 안되고 항상 유저를 추가해준 다음에 그 유저 경로에 파일을 올리고 작업해야한다.
    - /home/[username]/[프로젝트이름]/~~.war

  4. sudo apt-get install postgresql postgresql-contrib
    - postgresql 설치 하면 postgres 계정 생성됨

  5. sudo -I -u postgres

  • 계정 이동
  1. psql
    - postgresql 실행 명령어
  2. postgresql에서 유저 및 스키마 생성
    1) 유저 : [username]
    2) 스키마 : [db name]

디비 서버를 따로 생성했을 시
생성한 서버(10.0.x.x)에서 디비 서버(10.0.x.x)가 잘 연결 되는지 확인한다.

  1. 생성한 서버의 ACG의 outbound에 디비 서버를 등록해준다. (인스턴스에서 외부로 나가는 거니까) port : 5432
  2. 생성한 디비 서버의 ACG의 inbound에 생성한 서버를 등록해준다 (외부에서 인스턴스로 들어가는 거니까) port : 5432
  3. 생성한 서버에서 외부 디비 서버가 잘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su – postgres
    psql --host=[디비서버주소] --port=[포트주소] --username=[유저이름] –password --dbname=[데이터베이스이름]

ex) psql --host=pg-xxxx.vpc-xxx-xxx.fin-xxxx.com --port=5432 --username=hyeonjin --password --dbname=testdb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