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ummary - IaC와 테라폼을 이해하고 스터디에 필요한 실습 환경을 구성합니다. - 테라폼 기본 명령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 HCL을 이해하고 기본 활용 방법을 학습합니다. - 샘플코드 작성 및 배포를 실습합니다.
📌 Notice본 블로깅은 아래의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책을 기준하여 정리하였습니다.출처 - 한빛출판네트워크CloudNetaStudy 그룹에서 스터디한 내용입니다.Hashicorp korea 유형욱님과 함께 스터디 하고 있습니다. 🙏유형욱님과 윤서율
📌 Notice본 블로깅은 아래의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책을 기준하여 정리하였습니다.출처 - 한빛출판네트워크CloudNetaStudy 그룹에서 스터디한 내용입니다.Hashicorp korea 유형욱님과 함께 스터디 하고 있습니다. 🙏유형욱님과 윤서율
📌 Notice본 블로깅은 아래의 24단계 실습으로 정복하는 쿠버네티스 책을 기준하여 정리하였습니다.출처 - 한빛출판네트워크CloudNetaStudy 그룹에서 스터디한 내용입니다.Hashicorp korea 유형욱님과 함께 스터디 하고 있습니다. 🙏유형욱님과 윤서율
Spot Rebalance Recommendations 이벤트를 핸들링하는 AWS NTH에 대해 알아봅니다. Karpenter와 병행하여 Spot으로 이루어진 워크로드를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Summary - aws Amplify에서 Nextjs를 배포합니다. - NextJS의 주요 기능중 하나인 SSR에 대해 파악합니다. - 배포를 위한 아키텍처를 나열하고 적합한 구조를 선정합니다.
ACK를 통해 AWS의 리소스를 yaml을 이용하여 쿠버네티스에서 컨트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실습해보았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Drift(선언 후 수동으로 리소스가 변경되었을때) 상태에 대해서 정확하게 추종하지는 못해서 아직까지는 도입에는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6주차의 주제는 EKS Security 입니다. K8s에서의 권한에 대한 인증/인가를 적용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EKS에서 이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차이점이 발생하는지 확인하였습니다.
K8s를 구성하는 중요한 리소스를 AWS fargate에서 운영하여 Nodeless Concept으로 인프라를 구축합니다. 운영하고자 하는 리소스(파드, 디플로이먼트)는 Karpenter를 이용하여 배포되는 노드를 동적으로 관리합니다.
5주차의 주제는 `EKS Autoscaling` 입니다. K8s에서 파드의 `HPA(수평확장)`, `VPA(수직확장)`, `CA(클러스터 오토스케일러)`, `Karpenter`에 대해 스터디 하였습니다.
4주차는 EKS Observability에 대해서 스터디 하였습니다.EKS에서 안정적으로 쿠버네티스의 지표를 수집하는 방법부터 수집된 지표를 모니터링 하는 실습을 직접 수행하며 인프라 업무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4주차는 한상효님, 최치영님, 김진웅님의 경험 및 기
본 블로그는 baeldung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글을 참조하여 실습한 경험을 작성하였습니다.Java 옵션 중 힙 메모리를 관리하는 -XX:+UseContainerSupport에 대해 이해합니다.Java 8 버전을 통해 UseContainerSupport 백포팅이
3주차는 쿠버네티스의 `Storage` 및 `Node 관리`에 대해서 스터디 하였습니다. 2주차의 CNI와 비슷하게 CSI를 이용하여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스토리지를 수월하게 생성/확장/삭제할 수 있었습니다. Kubesar 도구를 이용하여 스토리지의 IOPS를 테스
CKAD(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시험에 도전하였습니다.CKA는 단순히 내가 정말 쿠버네티스를 스터디하며 이해한 내용이 맞을까? 에 대한 증명이었습니다. 이번 도전은 CKAD 스터디를 통해 DevOps 엔지니어로서 파드를 올바르게
# Review AEWS 스터디는 [PKOS 스터디]와 비슷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K8s 클러스터를 운영하기 위해서 알아야하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식을 한번더 스터디하며 그때는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부분들이 지금에 와서는 조금더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23년 1~2월에 진행했었던 PKOS 시리즈의 뒤를 이어 [AEWS] AWS EKS 스터디를 시작하였습니다. EKS 도입을 위해 지속적으로 쿠버네티스와 AWS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 와중에 정말 소중한 기회를 제공해 주신 가시다님께 다시한번 감사 드립니다.
# 📌 작성하는 이유 AWS 인프라를 이용하면서 사내에서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합니다. 특히 Bastion Host를 통한 연결 시 Public IP 와 Private IP 혼용으로 인하여 업무 진행에 제한을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
Slack 봇과 OpenAI의 GPT-3.5를 활용한 챗봇 ChatGPT 구현 방법을 소개합니다. AWS Lambda를 사용하여 Slack Bot을 구현하고 gpt-3.5-turbo API를 호출하여 질의 응답을 수행합니다.gpt-3.5-turbo 기반의 api를 사용
가시다님의 PKOS 스터디를 수료하며, 과연 쿠버네티스 환경에 대해서 얼만큼 익숙해졌고 성장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졌습니다.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를 취득하며 그 성장에 대한 증명을 할 수 있었습니다.CKA(Cer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