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HTTP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

woply·2022년 2월 5일
0

spring

목록 보기
13/20
post-thumbnail

📖 ✏️

이 글은 스프링이 제공하는 HTTP 응답 데이터의 조회 방법과 활용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HTTP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

스프링(서버)에서 응답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이다. 하나씩 살펴보자.

  1. 정적 리소스
  • 예) 웹 브라우저에 정적인 HTML, css, js를 제공할 때는 정적 리소스를 사용한다.
  1. 뷰 템플릿 사용
  • 예) 웹 브라우저에 동적인 HTML을 제공할 때는 뷰 템플릿을 사용한다.
  1. HTTP 메시지 사용
  • HTTP API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HTML이 아니라 데이터를 전달한다. HTTP 메시지 바디에 JSON 같은 형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1. 정적 리소스 응답 데이터 보내기

정적 리소스는 해당 파일을 변경 없이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프링 부트는 클래스패스의 다음 디렉토리에 있는 정적 리소스를 제공한다.

  • /static
  • /public
  • /resources
  • /META-INF/resources

src/main/resources는 리소스를 보관하는 곳이자, 클래스 패스의 시작 경로다. 따라서, 해당 디렉토리에 리소스를 넣어두면 스프링 부트가 정적 리소스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적 리소스 경로
src/main/resources/static

만약 아래와 같은 경로에 파일이 들어 있다면, 웹 브라우저에서는 static 하위 경로만 URL에 포함하면 된다.

리소스 경로
src/main/resources/static/basic/hello-form.html
웹 브라우저 접속 경로
http://localhost:8080/basic/hello-form.html

2. 뷰 템플릿을 이용해서 응답 데이터 보내기

뷰 템플릿을 거쳐서 HTML이 생성되고, 뷰가 응답을 만들어 전달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HTML을 동적으로 생성하는 용도로 사용하지만, 다른 것들도 가능하다. 뷰 템플릿이 만들 수 있는 것이라면 뭐든지 가능하다.

스프링 부트는 기본 뷰 템플릿 경로를 제공한다.
뷰 템플릿 경로
src/main/resources/templates

뷰 템플릿 생성
src/main/resources/templates/response/hello.html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head>
<body>
<p th:text="${data}">empty</p>
</body>
</html>

ResponseViewController - 뷰 템플릿을 호출하는 컨트롤러

package hello.springmvc.basic.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Controller
public class ResponseViewController {

    // HTML 텍스트 반환
    @RequestMapping("/response-view-v1")
    public ModelAndView responseViewV1() {
        ModelAndView mav = new ModelAndView("/response/hello").addObject("data", "hello!");

        return mav;
    }

    // 클래스에 @Controller가 붙어있으면 메서드 return 문자열이 View의 논리 이름이 된다. 뷰 리졸버가 물리 경로로 바꿔준다.
    // 주의! 만약 메서드에 @ResponseBody를 사용하면 View 경로가 단순 응답 텍스트가 된다.
    @RequestMapping("/response-view-v2")
    public String responseViewV2(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return "/response/hello";
    }

    // 컨트롤러의 @RequestMapping 경로와 View의 논리적 이름이 같으면 반환을 void로 지정해도 View가 랜더가 된다.
    @RequestMapping("/response/hello")
    public void responseViewV3(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
}

2-1. String을 반환하는 경우 - View or HTTP 메시지

@ResponseBody가 없으면 response/hello로 뷰 리졸버가 실행되어서 뷰를 찾고, 렌더링 한다. @ResponseBody가 있으면 뷰 리졸버를 실행하지 않고, HTTP 메시지 바디에 직접 response/hello 라는 문자가 입력된다.

여기서는 뷰의 논리 이름인 response/hello를 반환하면 다음 경로의 뷰 템플릿이 렌더링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뷰 템플릿 경로: templates/response/hello.html

Void를 반환하는 경우, @Controller 를 사용하고, HttpServletResponse, OutputStream(Writer)`같은 HTTP 메시지 바디를 처리하는 파라미터가 없으면 요청 URL을 참고해서 논리 뷰 이름으로 사용한다.

  • 요청 URL: /response/hello
  • 실행: templates/response/hello.html

참고로 이 방식은 명시성이 너무 떨어지고 사용에 적합한 경우도 많지 않아 권장하지 않는다.

package hello.springmvc.basic.respons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Controller
public class ResponseViewController {

    // HTML 텍스트 반환
    @RequestMapping("/response-view-v1")
    public ModelAndView responseViewV1() {
        ModelAndView mav = new ModelAndView("/response/hello").addObject("data", "hello!");

        return mav;
    }
}

HTTP 메시지
@ResponseBody, HttpEntity를 사용하면, 뷰 템플릿 사용하지 않는다. HTTP 메시지 바디에 직접 응답 데이터를 출력한다.

 
    // 클래스에 @Controller가 붙어있으면 메서드 return 문자열이 View의 논리 이름이 된다. 뷰 리졸버가 물리 경로로 바꿔준다.
    // 주의! 만약 메서드에 @ResponseBody를 사용하면 View 경로가 단순 응답 텍스트가 된다.
    @RequestMapping("/response-view-v2")
    public String responseViewV2(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return "/response/hello";
    }

    // 컨트롤러의 @RequestMapping 경로와 View의 논리적 이름이 같으면 반환을 void로 지정해도 View가 랜더가 된다.
    @RequestMapping("/response/hello")
    public void responseViewV3(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
}

2-2. Thymeleaf 스프링 부트 설정

라이브러리 추가 방법

build.gradl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스프링 부트가 자동으로 ThymeleafViewResolver와 필요한 스프링 빈들을 등록한다. 그리고 다음 설정도 사용한다. 이 설정은 기본 값이므로, 변경이 필요할 때만 설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application.properties

spring.thymeleaf.prefix=classpath:/templates/
spring.thymeleaf.suffix=.html

참고
스프링 부트의 타임리프 관련 추가 설정은 다음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자. (페이지 안에서 thymeleaf 검색)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2.4.3/reference/html/appendix-application-properties.html#common-application-properties-templating


3. HTTP API, 메시지 바디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여 응답 보내기

HTTP API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HTML이 아니라 데이터를 전달해야 한다. 보통은 HTTP 메시지 바디에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실어 보낸다.

참고
HTML이나 뷰 템플릿을 사용해도 HTTP 응답 메시지 바디에 HTML 데이터가 담겨서 전달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내용은 정적 리소스나 뷰 템플릿을 거치지 않고, 직접 HTTP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를 말한다.

ResponseBodyController

package hello.springmvc.basic.response;

import hello.springmvc.basic.HelloData;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Status;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Slf4j
@Controller
public class ResponseBodyController {

    @GetMapping("/response-body-string-v1")
    public void responseBodyV1(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
        response.getWriter().write("OK!");
    }

    @GetMapping("/response-body-string-v2")
    public ResponseEntity<String> responseBodyV2() {
        return new ResponseEntity<>("ok!", HttpStatus.OK);
    }

    @ResponseBody
    @GetMapping("/response-body-string-v3")
    public String responseBodyV3() {
        return "OK! ";
    }


    @GetMapping("/response-body-json-v1")
    public ResponseEntity<HelloData> ressponseBodyJsonv1() {
        HelloData helloData = new HelloData();
        helloData.setUsername("userA");
        helloData.setAge(20);
        return new ResponseEntity<>(helloData, HttpStatus.OK);
    }

    @ResponseStatus(HttpStatus.OK)
    @ResponseBody
    @GetMapping("/response-body-json-v2")
    public HelloData ressponseBodyJsonv2() {
        HelloData helloData = new HelloData();
        helloData.setUsername("userA");
        helloData.setAge(20);
        return helloData;
    }
}

responseBodyV1

서블릿을 직접 다룰 때 처럼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통해서 HTTP 메시지 바디에 직접 ok 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

response.getWriter().write("ok")

responseBodyV2

ResponseEntity엔티티는 HttpEntity를 상속 받는다. HttpEntity는 HTTP 메시지의 헤더, 바디 정보를 가지고 있다. ResponseEntity는 여기에 더해서 HTTP 응답 코드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tpStatus.CREATED를 설정하면 201 응답이 나간다.

responseBodyV3

@ResponseBody를 사용하면 view를 사용하지 않고, HTTP 메시지 컨버터를 통해서 HTTP 메시지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ResponseEntity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responseBodyJsonV1
ResponseEntity를 반환한다. HTTP 메시지 컨버터를 통해서 JSON 형식으로 변환되어서 반환된다.

responseBodyJsonV2

ResponseEntity는 HTTP 응답 코드를 설정할 수 있는데, @ResponseBody를 사용하면 이런 것을 설정하기 까다롭다. @ResponseStatus(HttpStatus.OK)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응답 코드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애노테이션이기 때문에 응답 코드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는 없다. 프로그램 조건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하려면 ResponseEntity를 사용하면 된다.

@RestController
@Controller 대신에 @RestController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해당 컨트롤러에 모두 @ResponseBody가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뷰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HTTP 메시지 바디에 직접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름 그대로 Rest API(HTTP API)를 만들 때 사용하는 컨트롤러이다.

참고로 @ResponseBody는 클래스 레벨에 두면 전체에 메서드에 적용된다. @RestController 에노테이션 안에 @ResponseBody가 적용되어 있다.

profile
7년간 마케터로 일했고, 현재는 헤렌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고객 가치를 설계하는 개발자를 지향하며, 개발, 독서, 글쓰기를 좋아합니다. 업이 심오한 놀이이길 바라는 덕업일치 주의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