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렬 스트림으로 데이터를 병렬 처리하기병렬 스트림의 성능 분석포크/조인 프레임워크Spliterator로 스트림 데이터 쪼개기컬렉션에 parallelStream을 호출하면 병렬 스트림 parallelstream이 생성된다. 병렬 스트림이 란 각각의 스레드에서 처리할 수
collect는 스트림의 요소를 요약 결과로 누적하는 다양한 방법 (컬렉터라 불리는)을 인수로 갖는 최종 연산이다. 스트림의 요소를 하나의 값으로 리듀스하고 요약하는 컬렉터뿐 아니라 최솟값, 최댓값, 평균값을 계산히는 컬렉터 등이 미리 정의되어 있다. 미리 정의된 컬렉
모던자바인액션 챕터 5에서 소개하는 스트림 API의 다양한 기능 소개와 활용 방법을 정리한 포스팅이다.
Chapter 3에서는 람다 표현식과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람다 표현식이 어떻게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지 살펴볼 것이며, 코드의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도 소개한다.
동작 파라미터화를 기반으로 하는 람다 표현식의 등장으로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더 유연하고 빠른 대응이 가능해졌다. 모던자바인액션 2장의 전반부는 동작을 메서드의 인수로 전달하는 방식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몇 가지 예제로 이해를 돕는다. 예제는
이 포스팅은 모던 자바 인 액션_Chapter 1을 학습 후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 이 글은 JP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할 때, 반복되는 코드 구현 작업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스프링 데이터 JPA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사용 방법을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세션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서블릿이 제공하는 HttpSession와 스프링이 제공하는 @SessionAttribute)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쿠키 기반의 로그인 인증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와 '세션을 이용한 해결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Bean Validation 사용 시, 여러 form에 개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두 가지 해결 방법(groups, Form 객체 분리)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Bean Validation`을 이용한 검증 시, 필드 단위 의 에러 메시지와 오브젝트(글로벌) 단위의 에러 메시지를 커스텀 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스프링을 이용해 애노테이션으로 검증 로직을 구현할 수 있는 `Bean Validation`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애노테이션으로 검증 로직을 구현할 수 있는 Bean Validation 인터페이스와 구현체인 hibernate Validator 사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HTTP 메시지 바디에서 데이터를 직접 읽어와야 하거나, 전달해야 할 때 사용되는 `HTTP 메시지 컨버터`의 동작 원리를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스프링이 제공하는 HTTP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과 활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스프링이 제공하는 HTTP 요청 데이터의 조회 방법과 활용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스프링 MVC가 제공하는 @RequestMapping의 다양한 매핑 기능과 활용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 ✏️ 이 글은 스프링 부트 라이브러리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SLF4J와 Logback을 이용해 로그를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