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7년간 마케터로 일했고, 현재는 헤렌에서 백엔드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고객 가치를 설계하는 개발자를 지향하며, 개발, 독서, 글쓰기를 좋아합니다. 업이 심오한 놀이이길 바라는 덕업일치 주의자입니다.
태그 목록
전체보기 (67)TIL(47)Spring(40)Java(10)모던자바인액션(6)스프링 컨테이너(4)컴포넌트 스캔(4)http(4)스프링 mvc(3)bean validation(3)싱글톤 패턴(3)TDD(3)stream(2)HTTP Request(2)GET(2)세션(2)POST(2)싱글톤(2)스트림(2)JPA(2)MVC(2)다형성(2)리팩토링(2)api 설계(1)Autowired(1)patch(1)@SessionAttribute(1)MVC 패턴이 등장한 이유(1)logback(1)스프링 API 방식(1)쿠키(1)스프링 MVC 구조(1)chapter4(1)RequestMapping(1)챕터2(1)HTTP API(1)jsessionid(1)Bean 생명주기(1)람다(1)Bean 조회(1)Slf4j(1)챕터7(1)post방식(1)bean(1)HTTP 데이터 전송(1)Bean Validation groups(1)스프링 데이터 JPA(1)스프링 정적 콘텐츠 방식(1)단위테스트 연습(1)gradle(1)Bean 등록 방법(1)챕터1(1)SOLID(1)테스트 코드(1)chaper5(1)JAVA8(1)싱글톤이 필요한 이유(1)스터디(1)객체지향설계(1)웹 스코프(1)HttpServletRequest(1)스프링 빈 생성과 초기화(1)aop(1)인터페이스(1)추상클래스(1)서블릿 컨테이너(1)put(1)delete(1)Collection(1)CLEAN CODE(1)파라미터 객체 자동 생성(1)HTTP 요청 메시지(1)di(1)빈 조회 지연 처리(1)Bean Validator(1)스프링 웹 개발 방식(1)생성자 주입 방법(1)자바인액션(1)hibernate validator(1)Data Base(1)프로토타입 Bean(1)챕터6(1)로그인 인증(1)병렬스트림(1)HTTP 메서드 속성(1)스프링 빈 스코프(1)MVC 패턴(1)http response(1)servlet(1)log 사용 방법(1)HttpServletResponse(1)TrackingModes(1)jdbc template(1)의존 관계 주입(1)자바(1)싱글톤 Bean(1)spring-data-jpa(1)HttpSession(1)스프링 MVC 방식(1)Bean 스코프(1)Message Converter(1)에러메시지 커스텀(1)JpaRepository(1)JDBC(1)스프링(1)빈 검증기(1)Stateless(1)무상태(1)싱글톤 컨테이너(1)git(1)챕터3(1)testcode(1)스프링 빈(1)콜백(1)메시지 컨버터(1)HTTP 매서드(1)HttpMessageConverter(1)세션 타임아웃(1)
post-thumbnail

모던자바인액션 Chapter 7_ 병렬 데이터 처리와 성능

병렬 스트림으로 데이터를 병렬 처리하기병렬 스트림의 성능 분석포크/조인 프레임워크Spliterator로 스트림 데이터 쪼개기컬렉션에 parallelStream을 호출하면 병렬 스트림 parallelstream이 생성된다. 병렬 스트림이 란 각각의 스레드에서 처리할 수

2022년 10월 10일
·
0개의 댓글
·

모던자바인액션 Chaptrt 6_스트림으로 데이터 수집

collect는 스트림의 요소를 요약 결과로 누적하는 다양한 방법 (컬렉터라 불리는)을 인수로 갖는 최종 연산이다. 스트림의 요소를 하나의 값으로 리듀스하고 요약하는 컬렉터뿐 아니라 최솟값, 최댓값, 평균값을 계산히는 컬렉터 등이 미리 정의되어 있다. 미리 정의된 컬렉

2022년 10월 10일
·
0개의 댓글
·

모던자바인액션 Chapter 5_스트림 활용

모던자바인액션 챕터 5에서 소개하는 스트림 API의 다양한 기능 소개와 활용 방법을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9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모던자바인액션 Chapter4_스트림 소개

모던 자바 인 액션 Chapter4 - 스트림 소개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고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2022년 9월 17일
·
0개의 댓글
·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비교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형태 비교, 구조적 특징 비교, 사용 목적 비교를 설명하는 포스팅이다.

2022년 9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모던자바인액션 Chaptrt 3_람다 표현식

Chapter 3에서는 람다 표현식과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람다 표현식이 어떻게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지 살펴볼 것이며, 코드의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도 소개한다.

2022년 9월 8일
·
0개의 댓글
·

모던자바인액션 Chapter 2_동작 파라미터화 코드 전달하기

동작 파라미터화를 기반으로 하는 람다 표현식의 등장으로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더 유연하고 빠른 대응이 가능해졌다. 모던자바인액션 2장의 전반부는 동작을 메서드의 인수로 전달하는 방식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몇 가지 예제로 이해를 돕는다. 예제는

2022년 9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모던자바인액션 Chapter 1_자바 8, 9, 10, 11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이 포스팅은 모던 자바 인 액션_Chapter 1을 학습 후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022년 8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PA] 스프링 데이터 JPA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JPA 조회 코드 줄이기

📖 ✏️ 이 글은 JPA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할 때, 반복되는 코드 구현 작업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스프링 데이터 JPA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사용 방법을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서블릿이 제공하는 HttpSession, 스프링이 제공하는 @SessionAttribute

📖 ✏️ 이 글은 세션 기능을 구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서블릿이 제공하는 HttpSession와 스프링이 제공하는 @SessionAttribute)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쿠키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의 보안 문제와 해결 방안

📖 ✏️ 이 글은 '쿠키 기반의 로그인 인증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와 '세션을 이용한 해결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ean Validation을 이용한 검증 로직 구현의 한계점과 2가지 해결 방안

📖 ✏️ 이 글은 Bean Validation 사용 시, 여러 form에 개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두 가지 해결 방법(groups, Form 객체 분리)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ean Validation의 필드 단위 에러 메시지와 오브젝트(글로벌) 단위 에러 메시지 변경 방법

📖 ✏️ 이 글은 `Bean Validation`을 이용한 검증 시, 필드 단위 의 에러 메시지와 오브젝트(글로벌) 단위의 에러 메시지를 커스텀 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스프링이 지원하는 Bean Validator 기능 사용 방법

📖 ✏️ 이 글은 스프링을 이용해 애노테이션으로 검증 로직을 구현할 수 있는 `Bean Validation`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애노테이션으로 검증 로직을 구현하는 Bean Validation 사용법

📖 ✏️ 이 글은 애노테이션으로 검증 로직을 구현할 수 있는 Bean Validation 인터페이스와 구현체인 hibernate Validator 사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HTTP 메시지 바디의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HttpMessageConverter

📖 ✏️ 이 글은 HTTP 메시지 바디에서 데이터를 직접 읽어와야 하거나, 전달해야 할 때 사용되는 `HTTP 메시지 컨버터`의 동작 원리를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HTTP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다양한 방법

📖 ✏️ 이 글은 스프링이 제공하는 HTTP 응답 데이터를 만들어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과 활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HTTP 요청 데이터를 조회하고, 사용하는 거의 모든 방법

📖 ✏️ 이 글은 스프링이 제공하는 HTTP 요청 데이터의 조회 방법과 활용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스프링 MVC가 제공하는 @RequestMapping의 다양한 맵핑 기능과 활용 방법

📖 ✏️ 이 글은 스프링 MVC가 제공하는 @RequestMapping의 다양한 매핑 기능과 활용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SLF4J와 Logback을 이용해 로그 사용하기

📖 ✏️ 이 글은 스프링 부트 라이브러리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SLF4J와 Logback을 이용해 로그를 사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정리한 포스팅이다.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